‘지지율·언론 노출도·SNS 활동’ 평가… 한국당, 인적쇄신 3대 기준 마련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회가 현역 의원을 대상으로 의원과 당 지지율 비교, 언론 노출도, SNS(사회관계망서비스) 활동 등을 ‘인적 쇄신 3대 기준’으로 마련, 심사에 착수한 것으로 4일 전해졌다.

 

특히 이번 심사는 여론조사와 빅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기법을 동원해 당 기여도와 의정활동 등을 평가하는 것으로, 과거 객관성이나 편파성 시비, 초선과 다선 의원 간 형평성 문제 등을 최소화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심사가 책임당원 숫자와 단순 지지지 등을 비교, 다선 의원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했던 점을 고려한 것으로 분석된다.

 

비대위는 이달 중순까지 이러한 기준에 따라 평가 점수를 산출한 후 이를 토대로 조직강화특위와 함께 자격 심사를 벌여 빠르면 다음달 중순 교체 대상 의원을 선정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져 파장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지지율의 경우, 지역별로 의원 지지율이 당 평균 지지율에 미치지 못하면 당에 대한 기여도가 낮다고 판단하고 감점할 방침이다. 특히 다선 의원에게는 가중치를 둬 점수를 더욱 깎을 것으로 전해졌다. 언론 노출 빈도는 의정활동을 수행하면서 언론을 통해 야당 의원으로서 정치, 경제, 외교·안보, 사회 등의 분야에서 현 정부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데 공헌했는지를 파악할 계획이다.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과 소득주도성장, 공공기관의 고용세습 의혹 등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문제제기 했는지를 주요 평가 지표로 삼겠다는 복안이다. 또한 SNS를 통한 개별 의원의 활동 정도를 측정, 정치·사회 현안에 대해 당의 정체성에 부합하는 글을 얼마나 올려 반향을 불러일으켰는지를 점검할 방침이다.

 

특히 개인적인 구설수로 당의 이미지를 실추시켰을 경우, 불이익을 주기로 했다.

 

비대위는 심사 결과 하위 20%의 경우, 오는 2020년 21대 총선 공천에서 컷오프시켜 당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평가 결과가 공개될 경우, 객관성 등을 놓고 반발이 예상돼 실제 적용 여부는 미지수다.

김재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