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감염병 유행 차단 및 예방을 위해 지난 6월부터 본격 운영 중인 ‘경기도형 감염병 일일 감시시스템’이 효과를 거두고 있다. 지역별 데이터 축적을 통해 감염병의 원인병원체를 확인하는 비율이 2년 새 30%p 이상 증가했다.
도는 2016년 55%에 불과했던 ‘수인성감염병(병원성 미생물에 오염된 물에 의해 감염되는 병) 원인병원체 규명률’이 86%(9월 기준)까지 상승했다고 12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8개 권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현장책임반’이 ‘경기도형 감염병 일일감시시스템’을 활용해 선제적 감염병 예방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감염병 정보시스템 고도화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6월부터 본격 가동되고 있는 ‘경기도형 감염병 일일감시시스템’은 지역별 데이터 축척을 통해 계절별 감염병 발생 유행 동향 등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감염병별로 정보를 검색해 개별적으로 분석해야 하는 ‘질병관리통합정보시스템’보다 개선된 시스템으로 일일 지역별 감염병 발생동향, 인접지역 간 감염병 정보 공유, 상호 간 상시소통 등이 가능하다. 앞으로도 도는 ‘경기도형 감염병 일일감시시스템’을 활용, 신속한 지역별 감염병 발생 추이 분석 등을 통해 선제적 감염병 예방 활동을 전개해 나갈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신속한 선제적 감염병 예방 및 효율적 역학조사 활동을 할 수 있는 경기도형 감염병 일일감시시스템을 꾸준히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며 “감염병 걱정 없는 경기도 조성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지난 3월 발표된 ‘2018년 정부 지자체 합동평가 감염병 관리’에서도 ▲성매개감염병 등 검진실적 ▲수혈 감염 역학조사 완료율 ▲역학조사의 완성도 ▲입국자 추적조사 완료율 ▲감염병 감시체계 운영 충실도 등 전체 5개 항목에서 최고 등급인 ‘가’를 받은 바 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