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임기·인사 추천권도 부여
주민자치·공직사회 영향 관심
수원시민들은 내년부터 자신의 마을 ‘동장’을 직접 선출한다.
수원시는 이 같은 ‘동장 주민추천제’가 실질적으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주민들이 뽑은 동장은 3년가량 해당 동장으로 일하게 하는 것은 물론, 일정 부분 인사 추천권도 부여한다는 방침이다. 경기도내 지자체에서 동장을 주민이 추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동장 주민추천제가 공직사회 및 주민자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2일 수원시는 내년부터 주민이 추천한 공직자를 동장으로 임명하는 ‘동장 주민추천제’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동장 주민추천제는 동 단체원, 일반 주민 등으로 이뤄진 ‘주민 추천인단’ 150여 명이 동장 후보자를 선정, 임명권자인 시장에게 추천하는 제도다.
구체적으로 보면 먼저 시는 내년 초 장안ㆍ영통ㆍ팔달ㆍ권선구에서 각각 1개 동을 ‘동장 주민추천제’ 시범 동으로 선정한다. 시범 동은 지역주민 요청이 있거나 지역 현안이 있는 동을 대상으로 한다.
시범 동이 선정되면 시는 5급(승진 예정) 공무원을 대상으로 동장을 공모한다. 또 동 주민 10여 명으로 구성될 ‘동장 추천 운영위원회’가 주민 추천인단을 모집, 150여 명의 동별 추천인단을 꾸린다.
공모에 참여한 공무원들은 추천인단에게 자신이 동에 갖고 있는 비전과 동장으로서의 향후 활동 계획 등을 발표하고, 후보자 간 토론회도 갖는다.
추천인단은 발표와 토론회를 살펴본 후 시장에게 추천할 공무원을 투표로 선출하며 시장은 주민 추천인단이 선정한 공무원이 특별한 결격 사유가 없을 시 2019년 하반기 인사에서 해당 동장으로 임용한다.
그동안 동장은 평균 1~2년가량 동장으로 근무한 뒤 자리를 옮겼지만, 주민추천제로 선출된 동장은 최소 3년가량 해당 동장으로 근무하면서 주민들에게 약속한 사업들을 추진해 나간다. 또 시는 주민추천으로 선출된 동장에게 일부 ‘인사 추천권’도 부여, 함께 동에서 근무할 직원도 추천할 수 있도록 배려할 방침이다.
수원시는 내년 4개 동에서 동장 주민추천제를 시범 시행한 후 2020년 2개 동, 2021년 2개 동에 추가로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동장은 ‘집행’ 위주의 행정에서 벗어나 주민의 눈높이에 맞는 ‘마을행정가’의 역할을 해야 한다”며 “주민이 직접 동장을 추천하면 마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주민 참여도 활성화될 수 있다. 동장 주민추천제를 통해 직접 민주주의를 실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