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50% 이하로 떨어졌다. 여론조사 기관 리얼미터의 조사에서 48.4%로 집계됐다. 지난 26~30일까지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2천51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리얼미터의 조사에서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40%대를 기록한 것은 취임 이후 처음이다. 반면, 부정적인 평가는 46.6%를 기록했다. 긍정 평가와 부정 평가가 오차 범위(±2.0%포인트) 내인 1.8%포인트다.
다른 여론조사 결과도 크게 다르지 않다. 지난주를 전후해 대체로 50% 선 아래로 나타난다. 주목해야 할 것은 이런 결과가 일정한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리얼미터 조사의 경우 9주 동안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다. 다른 여론조사에서도 하락 국면은 좀처럼 반등의 기미를 보이고 않고 있다.
불과 5개월 여전만 해도 천양지차였다. 5월 첫주 여론조사에서 문 대통령은 83%의 높은 지지율을 보였다(한국갤럽 조사). 부정적인 평가는 10%에 불과했다. 취임 1년차를 맞는 역대 대통령의 지지도 가운데 최고였다. 비교하면 지지율은 43%포인트나 추락했고, 부정 평가는 36%나 늘어났다.
국정이 특정 시기의 여론조사를 쫓아 좌우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청와대도 기본적으로는 이런 입장을 견지해왔다. 역대 최고 지지율을 보였을 때도 “지지율에 연연하지 않고 국민만 보고 가겠다”고 강조했었다. 하지만, 지지율 급락의 경우는 다르다. 국민이 걱정스럽게 보기 시작한다.
청와대, 여당이 가시적 변화를 보여줘야 한다. 지지율 하락의 원인은 비교적 정확히 계측된다. 경제 어려움이 첫 번째고, 한반도 비핵화 교착 상황, 혜경궁 김씨 파문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이 가운데 혜경궁 김씨 사건은 검찰이 결정할 문제다. 한반도 비핵화 교착 상황은 미국이 키를 쥐고 있다.
결국, 문재인 정부가 주도적으로 할 수 있고, 해야 할 변화는 경제다. 국민이 체감하지 못하는 소득주도 성장의 구호를 크게 손질할 필요가 있다. 이도 저도 아닌 노동시장 정책에서도 확실한 방향성을 보여줘야 한다. 개념적 변화, 이론적 변화로는 안 된다. 국민이 느낄 수 있는 변화를 줘야 한다.
혹자는 문 대통령의 지지도를 긍정적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집권 2년차를 비교했을 때 여전히 역대 최고라는 점을 강조한다.
큰일날 소리다. 2년차에 보인 하락 추세가 다시 상승으로 돌아섰던 적은 없다. 문 대통령 지지율도 계속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보는 게 상식적이다. 그래서 지금은 위로해야 할 때가 아니라 절박해야 할 때인 것이다. ‘절반의 지지’와 ‘절반의 반대’가 맞닿아 있는 지금이 지지도 회복의 ‘마지막 기회’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