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7기 새로운 경기 일자리창출 종합계획 발표, 전국 최초로 일자리 정책 마켓도 운영
민선7기 경기도가 공공 공익적 민간 일자리 창출 등 맞춤형 일자리창출 정책을 통해 약 44만 8천개의 일자리를 창출에 나선다. 특히 도는 전국 지자체 가운데 처음으로 ‘일자리 정책 마켓’ 을 도입해 일선 시군과 함께 공공 부문 일자리를 활성화할 방침이다.
박덕순 경기도 노동일자리정책관은 6일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민선7기 새로운 경기 일자리창출 종합계획(2018~2022)’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계획에 따르면 도는 ‘더 좋은 일자리 많은 새로운 경기’라는 비전 아래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공익적 일자리 창출, ▲미래를 준비하는 혁신 일자리생태계 구축, ▲시군과 함께 만드는 일자리 정책마켓을 새로운 일자리 창출 전략으로 확정했다.
이에 따라 ①공공 및 공익적 민간 일자리 창출, ②미래 일자리 창출, ③애로처리 통한 일자리 창출, ④미스매치 해소, ⑤일자리 창출 위한 공공인프라 조성, ⑥도시재정비 통한 일자리 창출 등 세부 6대 분야를 정했다.
도는 이 같은 6대 분야에 맞춰 67개의 중점추진과제와 540개의 실국자체 과제 등 총 607개 과제를 추진, 민선 7기 동안 약 44만 8천개의 일자리를 창출해 내겠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공공 및 공익적 민간 일자리’에는 먹거리 안전관리사 농-농케어, 항포구지킴 등 392개(중점44, 실국348), ‘미래 일자리’는 민관 협력 클라우드 서비스 등 61개(중점5, 실국56), ‘애로처리’는 기업규제해소 등 27개(중점3, 실국24), ‘미스매치’는 장기현장실습교육 브리지 프로젝트 등 56개(중점7, 실국49), ‘공공인프라’는 화성국제테마파크 등 62개(중점6, 실국56), ‘도시재정비’는 경기도형 도시재생사업 등 9개(중점2, 실국7) 등의 과제가 담겼다.
무엇보다 버스운수종사자 양성, 행복마을관리소 설치, 체납관리단 운영 등과 같이 안전·공정?정의 등 사회적 가치 실현과 공익적 일자리 창출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사업들에 주력할 방침이다.
도는 도와 31개 시군 일자리업무부서가 일자리 분야 정책 협의·거래 시스템인 ‘일자리 정책 마켓’을 운영하기로 했다.
기존에는 경기도가 만든 일자리 프로그램을 시군에 재정부담을 하도록 하는 하향식 방식을 주로 취해왔다면, 새로 도입될 ‘일자리 정책마켓’에서는 지역별 수요맞춤형 일자리 정책을 시?군에서 제안하고 시군중심으로 추진하되, 도가 사업비용을 지원하는 방식을 통해 수평적 협치관계를 토대로 현장형 일자리 사업을 추진하여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주력하는 방안도 병행할 방침이다.
예를 들어 시군 및 공공기관이 발굴한 일자리사업들 중 확산 필요성과 효과가 높다고 판단되는 정책의 경우, 경기도가 해당 정책을 구매해(1차년 100% 도비 지원) 필요한 시군으로 확산을 꾀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경기도가 발굴·개발한 일자리 사업을 정책마켓을 통해 내놓으면, 시군은 사업비 매칭비율이나 참여방식, 지역별 사정 등을 고려해 해당 정책을 선택적으로 구매한 후 집행하는 방식이다.
박덕순 정책관은 “이번 종합계획은 최근 주력산업 고용창출력 저하 및 자영업 부진에 따른 고용충격을 덜어줄 맞춤형 일자리를 발굴?추진하는데 중점을 뒀다”며 “작은 영역이라도 세부적으로 나눠 여러 분야에서 이삭줍기식 일자리 발굴을 추진함으로써 작지만 다수에게 이득이 되며 안전·공정?정의 등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공공ㆍ공익적 일자리를 많이 창출하는데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이선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