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기준 인천지역 혁신기관 ‘16곳’ 전국 16개 광역자치단체 중 ‘14위’ 초라
연구 개발도 강원·제주와 함께 바닥권 인천硏, ‘혁신지원시설’ 확충 시급 지적
인천시의 제조업 관련 혁신지원시설 확충 및 연구개발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인천연구원은 7일 열린 인천시 확대간부회의에서 인천지역 제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선 혁신 자원 확보와 연구개발 투자 확충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원에 따르면 인천은 수도권임에도 미래 기술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혁신기관 현황이 최하위권이다. 2016년 기준 인천의 혁신기관은 16곳으로 16개 광역자치단체(세종시 제외) 중 충청남도와 더불어 14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혁신지원기관 중 투자 효율성이 높은 지방자치단체 특화연구소는 1곳도 없는 상황이다.
부족한 혁신 역량을 보완할 인천지역의 연구개발 투자도 다른 지역에 비해 열악한 수준이다.
인천의 연구개발사업은 2015년 기준 4천여개로 강원권(2천673개), 제주권(1천136개)과 하위권에 머물러 있는 상태이다.
또 2016년 기준 인천지역 연구원 1인당 산·학·연 협력 과학기술논문 수와 국내 특허등록 수는 16개 시·도 중 14위이며, 동일 연령대 인구 대비 이공계 박사 졸업생 비중은 15위로 집계됐다.
이 밖에도 제조업을 종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조례 제정과 광역자치단체 차원의 총괄적인 산업정책이 미비한 점, 중앙정부의 산업정책에 따라 시의 정책이 변경되는 점도 문제다.
이에 연구원은 시가 연구개발, 시험, 인증, 엔지니어링, 시제품 개발을 위한 혁신지원시설 확충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인천지역 특화분야에 대한 지역연구개발투자기금을 조성하고 민·관 협력을 통해 연구개발 및 인재양성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연구원은 산업별, 분야별로 분산된 각종 발전 계획을 체계화해 관리하고 중앙정부 의존에서 탈피해 시가 선도적으로 신산업 육성에 나서는 방안도 제시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기존 앵커 대기업의 미래 전략을 반영한 중소기업 육성 지원과 유치 대기업의 지역중소기업 간 공급가치사슬 창출, 제조기업과 연관된 서비스기업에 대한 패키지형 사업 지원 확대 등이 앞으로의 인천 제조업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