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단·항만시설 등 맞춤형 감소대책 시급”
인천의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전국 7대 광역시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미세먼지 발생 주범인 산업단지와 항만시설에 대한 맞춤형 감소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1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2017년 인천의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는 26.11ug/㎥로 부산(26ug/㎥)과 함께 전국 7대 광역시중 최고수준을 보였다. 울산이 25ug/㎥로 뒤를 이었으며 초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낮은 곳은 대전(21ug/㎥)이다.
특히 산업단지와 항만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 물질이 초미세·미세먼지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지만, 대책이 없어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대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남동공단 등 공장지대가 있는 구월 측정소는 30ug/㎥로 초미세먼지가 높은 농도로 조사됐고, 인천항이 있는 신흥 측정소 29ug/㎥, 송림 측정소 26ug/㎥ 등으로 각각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산업단지와 항만시설 주변의 미세먼지 대책이 필요한 대목이다.
지난해 1월의 고농도 초미세먼지는 중국의 기여율이 58~61%로 조사됐다. 모두 인천의 북서쪽에서 유입된 미세먼지가 정체되면서 초미세먼지 농도도 높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북서풍이 부는 겨울과 봄철을 제외하면, 인천 안에서 유발되는 초미세·미세먼지 발생 요인도 무시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인천은 항만을 끼고 있기 때문에 겨울철 북서풍이 불면 인천의 초미세·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인천지역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부산을 제외한 다른 광역시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것도 선박에서 배출하는 오염물질 영향이 크다는 게 전문가의 분석이다.
이에 인천항의 초미세·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각 터미널, 선석마다 배출량을 측정한 뒤 데이터화 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를 통해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세부 방안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나영환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연구원은 “항만에서 신재생에너지를 적극 활용하는 것은 물론, 배출규제지역(ECA) 검토도 필요하다”며 “배출규제지역 지정을 받아들이는 선사에 일부 비용을 보존해 주는 정책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