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5곳 중 1곳만이 지난해보다 자금 사정이 나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전국 중소기업 300개 업체를 대상으로 ‘2018년 중소기업 금융이용 및 애로실태’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전년 대비 자금 사정이 ‘원활해졌다’고 답한 중소기업은 22%였다. 반면 ‘지난해와 비슷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55.7%, ‘곤란해졌다’고 답한 경우는 22.3%였다.
자금 사정 곤란 원인으로 ‘판매 부진’이 67.2%로 가장 높았다. ‘원ㆍ부자재 가격 상승(40.3%)’, ‘인건비 상승(38.8%)’이 뒤를 이었다.
이 중 인건비 상승으로 곤란을 겪는 비중은 지난해 17%에서 21% 늘었는데, 이는 최저임금 인상 여파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내년 자금수요 전망에 대해서는 72.3%의 업체가 ‘올해 수준을 유지하겠다’고 답했다. 자금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은 8.6%로 지난해 조사보다 7.4%p 하락했고 감소할 것이라는 답은 19%로 2.0%p 상승했다.
올해 외부자금 이용경험이 있는 중소기업(31%) 중 필요자금 대비 외부자금을 71% 이상 확보하였다고 응답한 기업은 48%였다. 이는 전년 대비 13%p 줄어든 수치다.
은행차입 대출금 비중으로는 ‘부동산담보’가 4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어 ‘순수신용(32.6%)’, ‘신용보증서 (15%) 순이었다.
한국의 기준금리 인상 시 기업경영에 ‘부담된다’는 의견이 81.7%로 주를 이었다.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경영 효율성 추구를 통한 원가절감(42%)’, ‘현금성 자산 등 유동성 확보(30%)’를 통해 대응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김해령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