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간호사의 열악한 근무 여건을 개선하고자 보건의료 분야에서 오는 2022년까지 5만 5천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기로 했다.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는 지난 14일 제9차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안건을 의결했다.
고령화 등으로 건강 유지 및 관리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의료 인력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어 이번 안건 의결에 따른 보건의료 일자리 창출이 주목된다는 평이다.
정부는 국내 간호사의 연평균 노동시간은 2천543시간으로 전체 노동자 평균치인 2천111시간을 크게 웃돌아 인력 충원이 시급한만큼 2022년까지 9천3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방침이다.
간호사가 독거노인을 포함한 취약계층 가구를 방문해 질병 예방 등을 하는 취약계층 건강관리 서비스 분야도 같은 기간까지 3천9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예정이며 환자 가족의 간병 부담을 줄이기 위해 병원 전담팀이 종합적인 입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간병 부담 완화 분야도 일자리 3만 개를 추가한다.
이 밖에도 암 생존자를 위한 종합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지지센터를 포함한 개인별 맞춤형 포괄적 질환 관리(1천700개), 금연구역 내 흡연 방지를 위한 ‘금연 지도원’ 충원 등 일상생활 예방ㆍ지속적 건강관리(1천700개), 감염병 전문병원을 포함한 전문 의료서비스(3천400개) 등 분야에서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아울러 간호사 근무 환경 개선을 위한 인력 채용에는 신임 간호사를 괴롭히는 악습인 ‘태움’ 관행 등의 근절을 위한 교육 전담 간호사 배치 방안은 물론, 간호 인력 확충을 위해 내년도 간호대 입학 정원을 700명 늘려 점진적인 증원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일자리위는 이날 아동과 노인 돌봄 등 사회서비스의 공공성과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한 ‘사회서비스원’ 설립 방안도 의결했다.
사회서비스원은 내년에 59억 7천만 원의 예산이 투입돼 4개 시ㆍ도에서 시범 사업을 하게 된다. 서울, 경기, 경남, 대구 등이 시범 사업 지역으로 검토되고 있다.
이호승 일자리위 기획단장은 “의료분야는 10억 원을 투자할때 생기는 일자리 수인 고용유발계수가 16.7명으로 전 산업 평균치의 2배에 육박하는 분야”라며 “고령화 시대에 맞는 정책을 계속 추진해나가겠다” 라고 말했다.
권오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