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철도·도로 착공식 준비 선발대 이번주 파견”
지난 8일 방북해 동해선 북측철도 구간을 조사한 남측 조사단이 열흘간의 일정을 마치고 17일 귀환했다.
임종일 국토교통부 철도건설과장과 박상돈 통일부 남북회담본부 회담2과장을 단장으로 하는 조사단 28명은 이날 오후 1시 51분께 강원도 고성군 동해선 남북출입사무소(CIQ)를 통과해 돌아왔다. 남측 열차가 동해선 북측 철도 구간을 운행한 것은 분단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조사단은 북측 관계자 약 30명과 함께 금강산역에서 안변역까지 버스로, 안변역에서 두만강역까지는 열차로 총 800㎞ 구간을 이동하며 동해선 북측의 철도를 점검했다. 특히 육안 검사와 휴대용 기기를 통한 구조물 테스트 등을 통해 궤도 상태와 노반, 교량, 터널, 시스템 등을 중점적으로 조사했다.
박상돈 과장은 “기본적으로 공동의 목표가 있고, 이번 공동조사가 철도 연결ㆍ현대화의 첫걸음이었기 때문에 굉장히 서로 협력하는 분위기였다”고 설명했다.
남북 조사단은 동해선 북쪽 끝자락에 있으면서 두만강을 가로질러 북한과 러시아를 연결하는 철교인 조러(북중)친선대교에도 함께 올랐다.
이에 대해 박 과장은 “대륙을 향한 한반도 철도의 꿈을 북측과 같이 나누면서 철도 연결에 대한 의지를 다지는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경의선ㆍ동해선 조사에 사용된 남측 열차는 동해선 일부 구간의 노후화 탓에 조사단과 따로 복귀한다. 동해선 쪽으로 오지 않고 평라선(평양∼나진)을 이용해 북한을 동서로 가로질러 다시 평양으로 와 경의선을 타고 내려온다.
현재 조사열차의 남측 열차 칸은 대북제재 대상인 유류 등의 유출을 막고자 봉인된 상태로, 남측은 18일 오전 방북해 개성 판문역에 도착해 봉인 상태를 확인하고 나서 열차를 북측으로부터 넘겨받아 귀환길에 오른다.
백태현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남측 열차는) 내일 오전 10시께에 군사분계선(MDL)을 통과할 예정”이라며 “열차는 동해선으로 넘어올 수가 없어서 평라선을 통해 경의선으로 다시 들어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공동조사를 마친 남북은 오는 26일 개성 판문역에서 열리는 남북 철도ㆍ도로 연결 및 현대화 착공식 준비에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정부는 착공식 준비를 위해 이번 주 북한에 선발대를 파견할 계획이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