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개 대학 복수·공동학위 구축
인천대 중심 실무 검토 작업
학생들, 1인시위 등 추진 반발
국립 인천대학교가 경인지역 대학교간 복수학위제 도입을 일방적으로 추진해 학생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경인지역 14곳의 대학이 참여하는 이 제도는 경인지역대학총장협의회장인 조동성 인천대총장이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인천대를 중심으로 실무 검토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인천대 총학생회는 17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입장문을 내고 “복수학위제는 학사행정 개편의 하나로 학생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대학측의 일방 추진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어 “평의원회에 학생 참여를 보장하지 않아 총학이 학사 개편에 대한 의견을 개진할 수 없었다”며 “총학은 경인지역대학총장협의회 내용을 수용할 수 없고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학우들의 의견을 반영해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천대 총학생회는 이날부터 복수학위제 도입을 막기 위한 1인 시위를 총장실 앞에서 하고, 18일 오후 5시까지 학생들의 의견을 온·오프라인으로 설문할 방침이다. 설문 결과를 수렴해 전체 행동에 돌입하겠다는 게 총학생회 측의 설명이다.
앞서 경인지역대학총장협의회는 지난 11월 27일 경인지역 14곳의 대학교 총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경인지역 대학 간 복수학위 학생 교류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서에는 경인지역 14곳의 대학교 간 복수·공동학위 제도를 구축하는 내용이 담겼다. 협약에 따라 인천대는 복수학위제를 중점적으로 도입하기로 하고 지난 8월 학칙을 개정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여왔다.
복수학위제는 학생이 복수학위 협정을 체결한 교류 대학에서 학위 취득 요건을 충족하면 두 대학교의 학위를 각각 받을 수 있다. 타 대학의 교류 학생이 인천대에서 1년 동안 42학점을 이수하면 인천대 학위를 추가로 받을 수 있다.
인천대 측은 대학 진학 시 희망하는 전공을 선택하지 못한 학생들에게 ‘자퇴→재수→시험’이라는 악순환을 대학 간 복수학위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을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악순환은 대학 내 복수학위제(복수전공)를 통해서도 해결 가능해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점은 문제로 남는다. 또 대학 서열화가 극명한 교육계 상황에서 총장 간 협약만으로 해당 제도를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것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인천대 관계자는 “조 총장이 협의회장이다 보니 인천대를 중심으로 실무 검토 작업을 한 것은 사실”이라며 “해당 제도의 부정적인 면을 볼 것이 아니라, 평생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적성을 열어주는 기회를 제공하는 순기능을 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복수학위제 협약을 체결한 대학은 강남대·단국대·명지대·서울신학대·성결대·안양대·인천대·인천가톨릭대·칼빈대·평택대·한국산업기술대·한국항공대·한세대·한신대 등 14곳이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