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취업한 중·장년 임금근로자 3명 중 2명은 한 달에 200만 원도 못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중장년층 행정통계’를 보면 지난해 10월 기준 새로 일자리를 얻은 만 40∼64세 임금근로자 70만 8천 명 중 3분의 2는 월평균 임금이 200만 원 미만이었다.
100만∼200만 원 미만을 벌어들이는 경우가 53.0%로 가장 많았고, 100만 원 미만도 13.9%로 모두 66.9%가 200만 원 미만을 받았다. 200만∼300만 원 미만을 버는 임금근로자는 19.7%에 불과했다.
월평균 임금수준은 208만 원으로, 남성(271만 원)이 여성(165만 원)보다 높았다. 40대 초반이 220만 원, 50대 초반은 213만 원, 60대 초반은 172만 원으로 연령이 올라갈수록 낮아졌다.
일자리를 잃은 중·장년 임금근로자가 종전 직장에서 받던 월평균 임금은 재취업한 중·장년층보다 높았다. 2016년 10월 취업자였지만, 지난해 10월에 미취업자로 변동된 만40∼64세 임금근로자 70만 3천 명의 종전 일자리 월평균 임금은 259만 원으로 재취업자보다 51만 원 많았다.
중·장년이 된 뒤 재취업하면 동일하거나 더 많은 임금을 받는 것이 어렵다는 해석이다.
이와 함께 중장년층의 절반 이상이 금융권에 빚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금융권 가계대출(제3금융권 제외)을 보유한 중장년층은 55.2%로 전년보다 0.8%포인트 상승했다. 주택 소유자의 대출 중앙값(7천941만 원)은 주택담보대출 등 영향으로 무주택자(2천만 원)의 약 4배에 육박했다.
한편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중장년층 인구는 1천996만4천명으로 총인구의 39.4%에 달했다.
구예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