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고용 향후 몇년이 고비”… 20대만 금융위기 당시 고용률 미달

20대 연령층만 아직도 금융위기 당시의 고용률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20대 청년층 고용 부진이 장기 빈곤계층으로 이어질 경우 국가적 복지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산업연구원은 6일 ‘최근 연령대별 인구의 변동과 산업별 고용 변화’ 보고서에서 10년 새 50대와 60세 이상 연령대의 고용률이 가장 빠르게 상승하고 그다음으로 30대와 40대가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온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이어 보고서는 20대 연령층의 고용률만 하락세를 보였다며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청년고용 대책을 촉구했다.

고용률은 취업자 수를 생산가능인구로 나눈 값으로, 20대 청년층의 월평균 고용률은 지난해 1∼10월까지 57.8%로 2009년 고용률 수준보다 0.6%포인트 밑돌았다.

고등교육기관 진학률이 2010년을 정점으로 완만하게 내리막인 점을 감안하면 대학원 등에 진학하느라 청년고용률이 오르지 않은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지난해 20대 생산가능인구는 695만 2천 명으로 저점을 찍은 2013년보다 26만 5천여 명 증가했다.

이 같은 현상은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인 에코 세대의 청년층 진입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주요 산업별 20대 취업자 수 변화를 보면 제조업의 경우 2015년에서 2018년 사이 2만 6천 명 감소하면서 연평균 1.4% 떨어진 데 반해 같은 기간 건설업은 3만 6천 명 증가로 연평균 10.6% 올랐다.

20대의 건설업 취업자 수 증가는 제조업에서 조선업 구조조정과 자동차산업 부진, 서비스업에서 수요침체에 따른 반사이익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최근 건설업 신규투자 저조로 이런 추세마저 지속되기 쉽지 않다.

김주영 연구위원(산업연구원)은 “20대 에코세대로 인한 생산가능 인구의 증가라는 새로운 변화와 경제의 허리인 40대 서비스 업종에서의 취업자 수 감소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며 “제조업 경쟁력 회복과 고부가가치 서비스 시장 육성을 통한 서비스업 부문의 고용역량 강화를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