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외부이사장 ‘무용론’

도지사 당연직 전환 급부상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원장 김기준)의 현 이사장 체제에 대한 실효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외부에서 선임되는 비상임 이사장의 역할이 미비해 부정적 인식이 확산되면서 도지사가 당연직으로 대신하는 방식으로 전환이 대두되고 있다.

7일 경기도와 경기도의회, 경과원 등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27일 열린 경과원 이사회에서 배국환 이사장의 사임에 대한 안건이 처리되고, 31일 최종 사임했다. 배 이사장은 지난해 11월 현대아산 신임 대표로 선임됐다.

이에 따라 현재 이사장 자리는 공석으로 남게 됐으며, 그간 경과원 이사회의 의장 역할 수준에 머물던 이사장 자리를 또다시 외부 인사로 선임해야 하는 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경과원은 최근 조직개편안을 마련하면서 상임이사 2명과 상임감사 1명 도입을 추진, 이사진이 확대됨에 따라 이사장의 외부 인사 선임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줄어들게 됐다.

앞서 이 같은 변화의 필요성은 지난 2017년 도의회 경제과학기술위원회의 경과원 행정사무감사에서도 드러났다. 당시 원미정 의원(더불어민주당ㆍ안산8)은 “이사장을 외부인사로 선임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별로 효율적이지 않다고 본다”면서 “업무에 있어서도 비효율적이라 옥상옥”이라고 지적했다.

또 김현삼 의원(더불어민주당ㆍ안산7)도 “이사장 제도와 관련해 심도 깊은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초선의원 시절 경기연구원도 외부에서 이사장을 영입했는데 경우에 따라 이사장이 의지를 강하게 가지면 리더십 발휘가 양분되고 조직 운영에 혼란도 있었다”고 우려를 표했다.

하지만 도는 도지사나 부지사, 혹은 경과원 원장이 당연직으로 이사장 자리를 대신하는 안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경과원의 이사장 선임 방식에는 변함이 없고,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