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에서는 최근 세계적인 예술가인 마르셀 뒤샹(1887~1968)의 전시가 열리고 있다. 20세기의 가장 난해한 예술가로 평가되는 뒤샹의 작품들이 그의 사후 50년 만에 국내에서 최초로 선보이고 있다. 이번 전시는 미술전문가는 물론, 일반인들에게도 그의 실험적 작품세계를 접할 수 있는 매우 소중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남자용 소변기가 현대미술의 기념비적 작품이 된 사실을 어렴풋이 알고 있지만, 도대체 이런 물건이 어떻게 미술작품이 되는지에 대한 납득은 쉽지 않을 것이다.
1917년 뉴욕의 앙데빵당전에는 타일 가게에서 파는 남성용 소변기에 R.Mutt라 사인하고 <샘(fountain)>이란 제목을 붙인 작품이 출품되었다. 출품 작가는 프랑스의 전위예술가로 후일 현대미술사의 역사를 바꾼 마르셀 뒤샹이었다. 앙데빵당전이란 참가비만 내면 무심사로 누구나 출품할 수있는 전시였음에도 이 소변기는 거절당했다. 무슨 연유인지 작품은 오프닝 전날 밤 누군가에 의해 어디론가 치워졌고 결국 사라져 버렸다.
현재 필라델피아에 미술관이 소장한 <샘>은 뒤샹의 동료였던 사진가 스티그리쯔가 찍어둔 사진을 보고 후일 재현한 작품이다. 운영위원들의 거절 사유는 작가가 직접 만들지 않았고 무엇보다도 더럽고 불결한 물건이란 이유였다. 하지만 뒤샹과 동료들이 만들던 잡지인 ‘BLIND MAN’을 통해 이 거절 사태에 대한 뜨거운 논쟁이 촉발되면서 후일 <샘>은 기념비적인 위상을 가지게 되었다. 결국 작가가 실제로 그리거나 제작하였는가의 여부나 아름다움의 여부보다는 상점으로부터 미술전시장으로의 장소이동과, <샘>이라는 제목을 설정한 창의적 사유와 관점이 작품임을 결정짓는 핵심요소가 된다는 것이다.
한 세기 전에 감행된 이러한 그의 도발은 당시까지 이룩한 현대미술의 의미와 인식을 총체적으로 전복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샘>은 망막의 자극에만 의존하는 기존작품보다는 레디메이드(기성품)에 상징적 제목을 부여한 창의적 정신성과 개념이 예술의 중심 문제임을 새롭게 제기했기 때문이다. 이는 기존의 근대적 미학을 뿌리째 흔드는 혁명적 의미를 가지는 것이었다. 그는 실제로 서양미술의 전범으로 여겨져온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모나리자>의 인쇄물에 턱수염과 콧수염을 그려 넣고
그는 작품 속에 ‘우연(chance)’을 전략으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8년간에 걸쳐 그간 제작한 작품 이미지와 요소들을 종합하여 한 작품을 제작하기도 했고 작품을 포기한 것으로 알았던 시기에 비밀리에 그의 모든 작업을 집대성한 디오라마 형식의 <주어진>이란 유작을 남기는 등 주도면밀함을 보이기도 한다. 역사는 이러한 비범한 천재들에 의해 새로운 시대를 연다. 하지만 천재를 만들어내는 것은 동시대의 환경들이다. 관습과 제도를 거부하며 자유롭고 창의적인 정신이 존중되는 토양과 풍토가 가장 중요한 요소일 것이다. 사후 50년, 작품 제작 후 100년 뒤 한국을 찾아온 뒤샹의 <샘>의 정신이 한국예술 풍토에 신선한 각성제가 될 수 있으면 좋겠다. 금년 봄 전시가 끝날 때까지 자주 전시를 관람하며 천재의 정신세계를 탐닉해보는 것은 어떨까?
김찬동 수원시미술관사업소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