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 억 불러올 강소연구개발특구 경기도서 탄생하나…안산사이언스밸리 선정여부 ‘촉각’

안산사이언스밸리 조감도. 경기일보 DB
안산사이언스밸리 조감도. 경기일보 DB

수천억 원의 경제 효과를 불러올 강소연구개발특구가 경기도에서 탄생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도가 안산사이언스밸리를 경기지역 유일 후보로 내세운 가운데 해당 지역의 특구지정이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과도 직결되기 때문이다.

10일 도에 따르면 도는 오는 1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안산사이언스밸리(한양대에리카캠퍼스 부근) 강소연구개발특구(이하 강소특구) 신청서’를 접수할 예정이다.

강소특구는 문재인 정부가 과학기술을 통한 지역 혁신성장 달성을 위해 추진 중인 사업이며, 새로운 연구개발특구 지정 방식으로 떠오르고 있다. 기존 연구개발특구가 대형화ㆍ분산화되다 보니 나타난 한계인 집적ㆍ연계 효과 창출 저하 및 지자체의 실질적인 참여 저조 등을 보완, 소규모ㆍ고밀도 연구단지를 조성하도록 한 게 특징이다.

강소특구 조성에 따른 기대효과도 상당하다. 우선 경기지역만 봐도 안산사이언스밸리가 강소특구로 선정되면 도내 전체에 생산유발 효과 1천656억 원, 부가가치유발 효과 697억 원, 취업유발 효과 1만 2천210명을 가져올 것으로 예측된다. 안산시에 예상되는 생산유발 효과는 116억 원, 부가가치유발 효과는 49억 원, 취업유발 효과는 855명이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 간 유치 경쟁에도 불이 붙고 있다. 경북, 서울 등 지자체 14곳 이상이 나설 것으로 예상되지만 과기부가 강소특구 조성을 위한 총량면적을 20㎢로 정한(특구 1곳당 개별면적 2㎢ 상한) 만큼 선정 지역은 10곳 내외로 한정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현재 경북 포항을 포함해 경남 창원 등 5곳은 신청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를 포함해 서울, 인천 등 9곳은 신청서 제출을 준비하고 있다.

이에 도는 선정 결과에 자신감을 내비치고 있다. 우선 안산사이언스밸리의 강소특구 지정이 문재인 대통령 공약인 경기 남부 4차 산업혁명 혁신클러스터 조성과 직결된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또 안산시가 가진 우수한 인력, 과학기술역량을 보유한 대학과 연구기관의 클러스터화, 미래 산업 대응에 유리한 다면적인 산업입지 구조, 뛰어난 교통, 높은 젊은 층 인구 비율 등도 강점으로 작용한다.

이에 도는 안산사이언스밸리의 보유기술과 클러스터 인프라를 적극 활용, 중앙정부의 국정목표인 ‘더불어 잘사는 경제’를 실현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와 관련 더불어민주당 전해철 의원(안산 상록갑), 송한준 경기도의회 의장 등 지역정치권에서도 조속한 특구 지정의 필요성 등을 강조하며 지속적으로 힘쓰고 있다.

도 관계자는 “강소특구 지정으로 경기도뿐만 아니라 인구 감소, 공단 근로자 이탈 등으로 침체에 빠진 안산시 경제에도 활력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공청회 등을 여는 한편 안산시와 지속협력해 강소특구에 선정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여승구ㆍ김태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