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위험지역 사전 정비 위해 1조 4천억 투입된다

정부가 올해 재해예방사업비로 1조 4천231억 원을 조기에 투입할 방침이다. 이는 지난해 대비 1천98억 원 증가한 수치다.

행안부는 15일 “이번 재해예방사업 조기추진이 정부 정책기조인 ‘경제 살리기’와 ‘대규모 투자사업 조기 착공’이라는 정책 방향에 맞춰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또 조기정비를 통해 여름철 태풍·호우로 반복적인 침수피해가 예상되는 지역과 급경사지와 저수지 등 노후화로 붕괴위험이 있는 시설 총 970개소에 대한 위험 요소를 사전에 정비할 예정이다.

재해예방사업의 조기추진 효과는 지난해 나타났다. 1999년 경기북부지역에 침수로 인한 피해액이 3천846억이 발생했지만, 지난해 예방조치를 통해 피해액이 194억 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행안부는 발 빠른 사업추진을 위해 1월부터 지자체와 함께 ‘조기 추진단’을 구성하고 2월 말까지 조기 발주 90%, 우기 전 주요공정 조기완공 60% 달성을 목표로 사업관리에 들어간다.

이와 함께 안전관리자 교육, 안전대책 점검, 현장 컨설팅 실시 및 해빙기·우기철 안전사고대비 상시대응체계를 운영한다.

또 올해 재정 조기집행계획에 맞춰 해마다 상반기 60% 이상 교부하던 자금을 1분기 내 100% 지자체에 교부하도록 해 정비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허언욱 안전정책실장은 “앞으로도 재해위험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와 위험요인 해소 사업을 통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