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21일 의원 정수를 현행으로 유지하는 대신 지역구 의원을 200명으로 줄이고, 비례대표를 100명으로 늘리는 내용의 선거제 개혁안을 당론으로 채택했다.
민주당 김종민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간사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정책의원총회 후 기자들과 만나 “의원 정수를 유지하고 소선거구제로 200명의 지역구 의원을, 권역별 비례대표제로 100명의 비례대표 의원을 각각 선출하는 안을 당론으로 채택했다”고 밝혔다.
그는 “지역구와 비례대표 비율을 2 대 1로 해서 비례성과 대표성을 의미 있게 강화했다”며 “비례대표를 100명으로 늘리면 지금보다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고, 국민대표성도 강화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2015년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제안한 안을 기본으로 변경하는 안을 채택했다”며 “(의석의) 연동형 배분이 포함된 제도를 골격으로 한다”고 부연했다.
김 간사는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채택한 근거로 지역주의 완화와 지역대표성 보완을 꼽았다. 그는 “민주당이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하자고 한 취지는 지역주의의 극복”이라며 “새로운 제도에 따라 소지역 대표성과 광역적 지역 대표성이 균형을 이루도록 해 지역 대표성까지 보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지역구를 줄이더라도 연동제로 가면 권역별 비례대표 후보로 출마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며 “지역구가 없어져서 정치 인생이 중단된다는 반발이 있을 수 있으나, 권역별 비례대표제로 출마 길이 열리면 저항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민주당은 정당 득표율과 의석 배분을 연동시키는 구체적 방식은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 정의당 등 야 3당이 요구하는 100% 연동제보다 연동 수준을 낮춰서 결정할 방침이다.
민주당은 이 밖에도 석패율제를 활용, 험지로 꼽히는 지역구에서 높은 득표율로 낙선한 후보를 비례대표로 구제할 수 있도록 하는 석패율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정금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