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공원 등 통일부와 협의
市, 내주 확정 사업계획 발표
인천시가 2월 열리는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남북 문화·사회·경제 교류협력 사업에 시동을 건다.
21일 시에 따르면 분야별 남북교류 사업 기본계획을 통일부와 조율하고 있으며, 다음 주께 확정된 사업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기본 계획에는 서해평화협력청 설치와 한강하구~대동강~백령도~강화도를 연결하는 해양평화공원 조성, 남북공동어로구역 지정 및 해상 파시, 강화군 교동도 ‘남북평화산업단지’ 조성 등이 담겨 있다.
시는 강화군 교동도와 한강 하구 일대에서 진행하는 경제 협력사업을 중심으로 통일부와 협의를 진행 중이다.
박남춘 시장은 강화군 교동도에 ‘남북평화산업단지’ 조성을, 한강 하구 일대에서는 ‘평화의 바닷길 복원’과 ‘남북 역사문화 클러스터 조성’ 등을 구체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이곳에 남북공동산업단지가 만들어지고 수로를 통한 물류가 활성화한다면 인천 경제는 재도약할 기회를 잡을 수 있다.
이를 위한 선도적 사업으로 남북은 지난해 한강 하구 공동 조사를 진행했다.
또 서해5도 일대에서 남북 간 해상 파시(바다 위의 시장)를 열고 서해 해상을 평화 수역으로 조성하는 방안도 진행한다.
접경지역에서 높아지는 긴장감을 해소하고 중국 어선의 서해 연평지역 침탈을 남북 공동으로 막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와 함께 말라리아 예방 등 인도적 사업과 고려왕터 학술교류, 북한예술단과의 예술교류, 중단됐던 축구 교류 등 문화·사회·민간 협력도 강구 중이다.
시는 그동안 멈춰 섰던 대부분의 민간·스포츠 교류가 활발해 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남북 협력 사업의 예산을 확보하는 방안도 북미 회담이 끝나는 3월께 구체화한다.
남북교류협력기금 위원회를 열고 적립한 46억원의 기금 집행한다.
또 시급한 예산이 필요하면 3월에 열리는 추가경정예산 심의에서 요청하는 방법도 논의 중이다.
시민단체와 시민의 의견 수렴도 추진한다.
남북 협력 사업에 대한 민·관 시너지를 높이기 위해 기본 계획을 설명하고 논의하는 자리를 만든다.
시 관계자는 “2월말께 열리는 북미 정상회담에서 좋은 결과가 나와야 사업 추진이 수월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통일부와 잘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지난해 ‘남북평화도시조성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는 조례를 만드는 등 남북 협력 사업을 준비해왔다.
주재홍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