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개 군·구 모두 기준인력 미달… 市 “올해 100명 충원 계획”
인천지역 치매 안심센터의 기준·전문 인력이 턱없이 부족해 부실 운영 우려가 커지고 있다.
24일 인천시와 시의회 등에 따르면 인천지역 치매 안심센터는 각 군·구 별 1곳씩 총 10곳이다.
하지만, 이들 치매 안심센터에서 일하는 인력은 총 162명으로 적정 기준 인력 253명의 64%에 그친 것으로 확인됐다.
군·구 별 치매 안심센터 인력 현황을 살펴보면 중구 14명(기준인력 18명), 동구 12명(〃 18명), 미추홀구 22명(〃 35명), 연수구 22명(〃 23명), 남동구 20명(〃 35명) 등이다.
부평구는 17명(〃 35명), 계양구 19명(〃 24명), 서구 20명(〃 33명), 강화군 9명(〃 22명), 옹진군 7명(〃 10명) 등 10개 군·구 모두 기준 인력에 못 미친다.
이들이 관리하는 치매환자가 총 1만3천283명인 점을 감안하면 1인당 약 82명의 환자를 담당, 인력 보강이 시급하다.
여기에 경도 인지장애 615명 등을 포함하면 업무량은 더 늘어나, 인력 부족에 따른 서비스 질 저하 등 부실 운영 우려가 커지고 있다.
또 치매 안심센터 전체 인력의 약 1/3인 56명은 시간선택제 공무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시간선택제 공무원은 1일 중 일정시간만 정해 일하는 공무원으로 최대 주 25시간까지 근무한다.
더 큰 문제는 치매상담등록, 치매 선별·진단 검사, 사례관리, 쉼터 운영, 인식개선홍보 등을 담당하는 임상심리사가 없는 치매 안심센터도 많다는 점이다.
현재 남동구와 계양구 치매 안심센터에만 각각 1명씩 임상심리사가 있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센터는 1명의 임상심리사도 없는 상황이다.
유세움(민·광역비례) 시의원은 “지금까지 치매 안심센터는 인력이 부족해 부실하게 운영됐다는 논란을 피하기 어렵다”라며 “앞으로 시 집행부에서 인력 충원에 적극적으로 나서 시민이 실질적으로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시 관계자는 “임상심리사 말고 간호사도 치매 선별·진단 검사를 할 수 있어 그 부분에 대한 문제는 크지 않다”며 “인력 충원 문제에 대해서는 이미 2019년에 약 100명 정도의 인력을 충원할 계획을 세웠다”고 말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