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경사노위 적극 참여해 달라”

양대 노총 위원장 80여분 면담
‘노동권 개선 사회적 대화’ 설득

문재인 대통령이 한국노동조합총연맹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의 위원장을 면담하고,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줄 것을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25일 청와대에서 오후 4시부터 80여 분간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과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을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문 대통령이 양대 노총 위원장을 비공개 면담한 것은 지난해 7월 이후 6개월여 만으로, 탄력근로제 확대를 반대하며 경사노위에 불참한 민주노총을 설득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27일 민주노총에 따르면 이들은 28일 사회적 대화 기구인 경사노위 참여 여부를 결정지을 투표에 돌입한다.

문 대통령은 최저임금, 노동시간, 노동안전 등에서 노동권의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는 게 사회적 인식”이라며 “정부가 일방적으로 추진할 수는 없다. 국민들이 바라는 건 사회적 대화를 통해 사회적 합의를 이뤄 노동권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경사노위라는 틀이 제도적으로 마련돼 있으니 이 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국민들의 바람은 정부가 정책 기조를 일방적으로 끌고 가지 말고 다양한 경제 주체들의 의견을 경청하라는 것”이라며 “새해 들어 중소기업, 벤처기업, 대기업, 중견기업의 의견을 듣는 자리를 마련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과의 자리도 마련할 계획이다”면서 “노동계와도 대화를 할 생각이다. 오늘 이 자리는 노동계와 대화를 사전에 논의하기 위한 자리”라고 덧붙였다.

이에 두 위원장은 문 대통령에게 “고 김용균 씨의 장례를 설 전에 치를 수 있도록 진상 규명과 정규직 전환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해 달라”고 요청했다. 아울러 탄력근로제 기간 확대 문제, 국제노동기구(ILO) 비준 문제, 제주 영리병원 민영화 중단, 최저임금과 통상임금의 산입 범위 동일화, 카풀 문제, 주한미군 한국인 노동자 이슈 등 여러 노동계 현안의 해결도 주문했다.

강해인·정금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