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남문시장·산본로데오거리 등 소상공인 카드 수수료 부담 해방
정부, 전국 가맹점 확산 물꼬 기대
정부가 소상공인 카드수수료 부담 완화를 위해 제로페이를 적극적으로 추진 중인 가운데 경기지역에서 가장 많은 제로페이 시범상가가 선정됐다. 경기도를 필두로 제로페이가 혁신ㆍ성공적인 결제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중소벤처사업부는 지역별로 유동인구가 많고 소상공인 점포가 밀집한 핵심 상권 109곳을 제로페이 시범상가로 지정한다고 27일 밝혔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도가 수원 남문시장, 군포 산본로데오거리 등 13곳을 차지해 가장 많았고 서울 10곳, 전북 9곳 등으로 뒤를 이었다.
제로페이는 소상공인의 카드수수료 부담 완화(0%대의 수수료율)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 은행과 민간 간편 결제사업자가 함께 협력해 만든 결제서비스다. 지난해 12월부터 서울시, 경남 창원시, 부산 자갈치 시장 등 3개 지역에서 시범사업이 진행 중이다.
중기부는 다음 달 말까지 이번에 선정된 제로페이 시범상가별 가맹점을 집중적으로 모집할 계획이다. 시범상가를 전국 확산을 위한 거점으로 운영, 지역별 핵심상권으로 확산해나간다는 구상이다. 중기부는 이번 시범상가 운영으로, 가맹점이 본격적으로 확산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달 23일 기준 제로페이 가맹점은 4만 699개다.
이와 함께 다음 달부터 제로페이 가맹점 확산을 위한 협업체계를 마련하고자 전국 협의체와 지역별 실무 TF가 운영될 것으로 보인다. 전국 협의체에는 중기부 관계자와 광역지자체 국장급 관계자들이 참석하며, 실무 TF에는 지방중소벤처기업청 관계자, 광역ㆍ기초지자체 관계자, 자영업 협ㆍ단체 등이 참석한다.
중기부는 또 이번 시범상가 지정 중에 나타나는 불편사항을 접수해 제로페이 제도가 정착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해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앞서 중기부는 1차 시범사업을 통해 소상공인의 가맹점 가입 불편 해소를 위해 신청서ㆍ접수창구 운영 확대, 온라인 신청 플랫폼 확대 등 시스템 개선을 진행했었다.
아울러 중기부는 제로페이 이용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와 협업으로 공용 주차장, 문화시설 같은 공공시설 이용료 할인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제로페이 시범상가를 중심으로 지자체, 상인회 등과 협업으로 포인트 적립과 같은 공동마케팅도 계획 중이다.
중기부 관계자는 “이번 시범상가 지정과 결제사업자 추가 모집은 제로페이를 확산하기 위한 단계적 조치”라며 “제로페이가 명실상부한 결제수단으로 자리 잡도록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GS25, 이마트24 등 6대 편의점은 가맹본부를 통해 4월까지 제로페이 일괄가맹을 추진하기로 했다. 교촌치킨 등 프랜차이즈의 경우에도 제로페이 상생플랜차이즈 사업에 참여, 순차적으로 가맹등록을 추진할 계획이다. 강해인ㆍ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