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금리 1년 만에 최저 기록…예금금리는 2%대로 상승

경기우려에 금리도 꺾여 가계대출 금리가 1년 만에 최저수준으로 떨어졌다.

한은이 31일 발표한 ‘2018년 12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 가계대출 금리(이하 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61%로 전월보다 0.02%포인트 하락했다.

은행 가계대출 금리는 지난해 11월에 이어 2개월 연속 내림세를 이어가 2017년 12월(3.61%) 이후 최저치를 찍었다. 한은이 지난해 11월 30일 기준금리를 연 1.50%에서 1.75%로 올렸으나 금리 상승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셈이다.

기준금리 인상에 민감한 단기 시장금리와 달리 장기 시장금리는 경기 전망과 밀접한 장기 시장금리가 하락한 영향이 컸다.

가계대출 금리의 주요 지표금리인 3년ㆍ5년 만기 은행채(AAA) 금리는 전월 대비 각각 0.13%포인트, 0.17%포인트 하락한 2.04%, 2.09%를 기록했다.

한은 관계자는 “기준금리가 올랐지만, 장기 시장금리가 경기 우려 때문에 하락했다”며 “장기 시장금리가 오르려면 경기를 둘러싼 우려가 해소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3.19%로 한 달 전보다 0.09%포인트 하락해 2017년 2월(3.19%) 이후 가장 낮았다. 집단대출 금리(3.23%)도 0.07%포인트 떨어져 2017년 9월(3.22%) 이후 최저였다.

반면 단기 시장금리와 연동하는 일반 신용대출 금리는 4.64%로 0.08%포인트 상승했다. 신용대출 금리는 2015년 3월(4.75%) 이후 가장 높았다.

500만 원 이하 소액대출 금리(4.63%)와 예ㆍ적금 담보대출(3.26%)도 각각 0.07%포인트, 0.01%포인트 올랐다.

기업 대출 금리는 단기물과 연동해 오름세를 나타냈다. 기업 대출 금리는 3.77%로 0.08%포인트 상승, 대기업 대출금리(3.50%)와 중소기업 대출금리(3.98%)가 각각 0.08%포인트, 0.11%포인트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가계ㆍ기업ㆍ공공 및 기타부문 대출을 모두 합한 은행의 전체 대출 평균 금리는 3.72%로 0.06%포인트 올랐다. 3.86%를 기록한 2015년 2월 이후 최고였다.

은행 저축성 수신금리는 2.05%로 0.09%포인트 상승했다. 2015년 2월(2.04%) 이후 처음으로 저축성 수신 금리가 2%대를 찍은 것이다.

은행들이 새로운 예대율(예금 대비 대출금 비율)ㆍ유동성 비율 관리를 위해 우대 금리를 제공하는 등 정기예금 유치 노력을 강화한 영향이다. 잔액 기준 예대 금리차는 2.31%포인트로 전월 수준을 유지했다.

한편, 제2금융권 대출 금리는 대부분 하락했다. 상호저축은행 대출 금리(10.28%)는 0.34%포인트, 신용협동조합(4.82%)은 0.09%포인트, 상호금융(4.14%)은 0.03%포인트 각각 떨어졌다. 새마을금고 대출 금리(4.50%)만 0.09%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예금금리는 신용협동조합(2.61%), 상호금융(2.26%), 새마을금고(2.56%)에서 각각 0.03%포인트, 0.05%포인트, 0.07%포인트씩 올랐다. 상호저축은행 예금금리만 전월과 같은 2.69%였다.

김해령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