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음식점 근로자 임금이 크게 올랐고, 올해도 오름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6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을 보면 음식점 및 주점업 근로자의 작년 3분기 임금은 전년 동기대비 10.3% 증가했다. 이는 고용노동부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로, 상용근로자가 1인 이상인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임금 총액이 대상이다.
음식점 및 주점업 근로자 임금 상승률은 작년 1분기(9.9%)와 2분기(9.3%)에도 10%에 육박했다. 1∼11월 기준으로는 전년 동기대비 9.6% 늘었다.
서비스업 근로자 임금 총액 상승률이 작년 1분기 7.0%, 2분기 5.3%, 3분기 5.6%인 것과 비교해 월등히 높은 상승률이다.
음식점 근로자 임금상승률은 그동안 다른 업종보다 낮은 편으로, 2015년 3분기∼2016년 1분기에는 연속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고 이후에도 2017년 3분기까지도 전산업보다 낮았다.
그러다 보니 음식점업 근로자 임금 자체는 매우 낮은 수준이다. 지난해 11월까지의 월 평균(168만 원)이 전 산업(334만 원)의 절반에 그쳤다.
한은은 최저임금 인상 영향으로 올해도 이런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서비스업 임금이 지난해에 이어 높은 오름세를 지속하지만 올해 기업이익 증가세 둔화로 인해 전 산업 임금 상승세는 다소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같은 노동비용 요인은 물가에 반영돼 지난해 외식물가 상승률은 3.0%로 7년 만에 가장 높았다. 올해 1월에도 3.1%에 달했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5%로 전년(1.9%)보다 낮았다. 올해 1월엔 0.8%였다.
구예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