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혁신적 포용국가 추구하면서 동력은 혁신성장”

문재인 대통령은 7일 “우리 정부는 혁신적 포용국가를 추구하면서 성장의 주된 동력을 혁신성장에서 찾고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혁신 벤처기업인과의 간담회를 한 자리에서 “혁신창업이 발달해야 하고 창업된 기업들이 중견기업, 유니콘기업, 대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창업의 생태계를 마련해줄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벤처기업인과 만남은 지난달 7일 중소·벤처 기업인과의 간담회 이후 한 달여 만이다. 이번 일정은 새해부터 이어온 경제 행보의 일환으로, 규제 개혁을 비롯한 혁신 성장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대통령의 의지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요즘 시간 나는 대로 다양한 경제주체를 만나 경청하는 자리를 마련하고 있다”며 “오늘은 1세대 벤처기업인과 1세대 혁신창업 기업을 대기업 반열로 만든 분들과 최근 몇 년 사이 새롭게 혁신창업해서 이른바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한 기업인들과 함께 대화 나누는 시간을 갖게 됐다”고 소개했다. 유니콘 기업은 기업 가치가 1조원 이상인 회사를 말한다.

그러면서 “창업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창업 벤처기업 6개도 혁신상을 받는 성과를 올렸다”며 “유니콘 기업도 올해 1월 기점으로 6개인데 5개 정도는 유니콘 기업으로 돌아설 수 있는, 잠재적 유니콘 기업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는 1세대 벤처기업으론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서정선 마크로젠 회장이 참석했다. 유니콘 기업에선 김범석 쿠팡 대표, 김봉진 우아한형제들 대표, 권오섭 L&P 코스메틱 대표, 이승건 비바리퍼블리카 대표 등이 참석했다.

권오섭 회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많은 청년들은 취업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저희는 사람을 구하지 못하고 있다”며 “기존의 구인광고를 하고는 있지만, 정부 차원에서 구직자와 기업 이어주는 취업방송이 있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서정선 회장도 “바이오헬스는 새로운 시장 창출이 가능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산업이다. 정부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민간은 투명하게 운영하는 등 유연한 대처가 필요하다”며 “규제는 네거티브 규제로 미래지향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