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노후 하수관이 1만㎞에 달하며 ‘지하안전 주의보’가 발령된(본보 2018년 11월 18일자 1면) 가운데 지난해 도내 지반침하가 전년보다 3배가량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가 갈수록 노후 하수관이 점차 증가, 지반침하도 덩달아 늘어난 것이다. 이에 따라 도가 진행하는 노후 하수관 교체 작업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10일 도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에서 발생한 지반침하 사고는 모두 135건으로 나타났다. 2017년 46건의 3배에 달하는 것이다. 도내에서 발생한 지반침하 사고는 최근 5년간 384건이다.
지난해 지반침하 사고의 원인은 빗물 관로나 하수 관로의 노후화 및 부실공사로 인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토사 유실(빗물)로 인한 지반침하도 곳곳에서 일어났다. 도로 공사를 하면서 흙다지기를 제대로 하지 않거나 부실 상수도 공사와 관련된 침하도 적지 않았다.
시ㆍ군별로 보면 부천에서만 71건의 지반침하가 발생했다. 이어 파주에서 13건, 구리ㆍ수원ㆍ용인에서 9건씩, 안양에서 5건 등으로 제시됐다. 이 같은 지반침하 사고는 인명피해로 이어지지는 않았으나 차량 11대가 파손됐다.
도는 곳곳에서 개발행위가 이어지면서 하수관로나 상수관로를 훼손, 지하수 수위가 변하면서 지난해 지반침하 사고가 전년도보다 많이 증가한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상수관로나 하수관로가 노후화한 것도 지반침하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했다.
도 관계자는 “개발행위시 지하 시설물에 대한 사전 확인을 더 철저히 하도록 하겠다”며 “노후 상ㆍ하수관에 대한 교체작업을 지속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도내 2만 6천여㎞ 길이의 하수관 중 노후하수관(사용연수 20년 이상)은 9천900여 ㎞으로 집계됐다. 특히 1995년 이전에 설치돼 사용연수가 24년을 넘은 하수관은 7천여 ㎞에 달한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