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공약' 고교학점제 본격 추진한다…중앙추진단 구성

오는 2025년 고교학점제의 안정적인 도입을 위해 교육부가 중앙추진단을 구성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교육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과 중앙추진단을 꾸려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추진 체계를 정비하기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중앙추진단은 현장 중심 네트워크 구축, 연구·선도학교 확대, 일반고 학점제 도입 지원 강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고교학점제 중앙추진단은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고교학점제 지원기관 합동으로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제도 개선 사항을 협의하는 등 향후 학점제 기반 마련의 구심점 역할을 하게 된다.

평가원은 교육과정과 평가 제도 개선 연구 및 선도학교 운영을 집중 지원하고, 한국교육개발원은 교원과 시설 관련 제도 개선 연구와 일반고 대상 학점제 도입을 지원한다.

올해 연구학교는 일반계고 64곳과 직업계고 38곳이다. 이들은 3년간 매년 4천~5천만 원을 지원받아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맞춤형 학습관리 등을 수행하게 된다. 선도학교는 일반계고 178개교와 직업계고 74개교로, 3년간 매년 2천~2천500만 원을 지원해 교육과정 다양화 및 학교 혁신 사례를 발굴해 나가게 된다.

교육부는 2020년 상반기 개통되는 고교학점제 수강신청 프로그램 기능을 개선해 추후 제도 도입과 함께 학사 지원 통합창구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직업계고는 학과 내 관심분야의 전공코스를 심층적으로 이수하는 전공심화형과 관심 있는 타 학과 과목을 선택 이수하는 전공융합형 등 학점제 교육과정 모형을 구체화하고, 3학년 2학기는 사회진출을 위한 ‘전환학기’로 학점을 이수하는 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다.

일반고 고교학점제 도입 기반 조성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 고교 교육력 제고 사업 예산으로 약 660억 원을 투입한다.

또 교사들의 역량과 전문성을 끌어올리기 위한 교원연수도 확대한다. 교장 연수를 통해 학점제형 학교 문화와 민주적 리더십 함양을 지원하고, 학생 과목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 소인수 선택 과목 직무 연수 등을 실시한다.

학교 환경도 고교학점제에 맞게 조성한다. 올해 교과교실제 도입 학교는 기존 교과중심공간 휴식·자율공간을 비롯해 효율적인 동선을 고려한 공간, 도서관의 학습공간으로 변화시켜나가기로 했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교육부·교육청·지원기관 등이 밀접하게 협력해 학교 현장과 함께 제도 도입을 위한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국민이 새로운 제도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보다 희망과 기대를 할 수 있도록 적극 소통해 공감을 얻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