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정대운 기획재정위원장(더불어민주당ㆍ광명2)이 19일 도의회 제333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낙후된 지역에 대한 경기도 공공의료 기능의 역할을 촉구하고 나섰다.
정 위원장에 따르면 최근 경기도의료원 소속 6개 병원(수원·안성·이천·의정부·파주·포천)에서 총 847명의 인력 증원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도의료원이 공공의료 본연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해 의료취약 지역과 취약계층에 대한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에 힘써야 한다는 것이 정 위원장의 주장이다.
정 위원장은 “기존 도립병원의 경우 설립 당시와는 달리 이제는 양질의 민간의료서비스 공급이 충분하므로 의료서비스가 열악한 북부지역에서 도의료원의 기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도내에서 대표적인 낙후지역을 예로 들어 “포천의 경우 넓은 면적과 인구고령화 등으로 공공의료의 역할이 중요하고 지역거점 공공병원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한 이전신축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정 위원장은 연천군에서 운영하고 있는 연천보건의료원의 도의료원 전환을 전향적으로 검토해달라고 촉구하면서 “재정자립도, 인구 수, 의료 수준 등 모든 면에서 여건이 열악한 연천군의 상황을 고려해봐야 할 것”이라며 “도내 지역 간 의료불평등 해소 및 의료서비스 향상과 보건의료의 발전을 위해 이재명 도지사가 주도해 연천군과 보건정책과 간 협상테이블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정 위원장은 “이 지사의 도정철학인 억강부약(抑强扶弱)은 도 공공의료 정책에도 적용돼야 한다”면서 “접경지역으로 반세기 넘게 중첩규제를 겪으며 소외되고 낙후된 연천지역은 약자인 만큼 도의 적극적 역할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발언을 마무리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