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4천 개의 스마트공장을 보급하는 등 스마트공장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첨단 의료기기 등 유망 분야 연구개발(R&D)에 10년간 4조 8천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정부는 20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혁신성장전략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8대 핵심 선도사업 세부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올해 스마트공장 지원금액을 늘리고, 스마트 공장도 4천 개 추가 보급할 계획이다. 지난해까지 보급된 스마트공장은 모두 7천900여 개다.
또한, 5세대 이동통신(5G)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공장을 3개 구축하고 6월까지 스마트제조패키지 기술 개발·공급 기업 육성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5G 플러스 추진전략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주관으로 마련되는 종합 계획이다. 단말기와 스마트 팩토리, 커넥티드카 등 5G 인프라를 통한 새로운 융합 산업 생태계를 선도할 수 있도록 범정부차원으로 추진된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5G 상용화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프라”라며 “IT산업 자체의 발전은 물론 제조, 운송, 보건, 의료, 재난, 안전 등 산업간 융합이 혁신을 촉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외에도 첨단 의료기기·신약 등 유망 분야에 대해서는 장기적으로 범부처 R&D를 추진, 10년간 첨단 의료기기에는 2조 8천억 원, 신약에 대해서는 2조 원을 투입한다.
또 친환경차 확산과 스마트카 기술 개발 로드맵·규제정비방안 등을 포함한 ‘미래차 산업 육성전략’도 내달 완성된다.
이와 함께 정부는 핀테크 활성화를 가로막는 행정지도와 가이드라인 규제 200여 건을 검토해 ‘낡은 금융규제 개선 방안’을 다음 달까지 만들 계획이다.
아울러 스마트시티형 도시재생사업 대상지 5개소를 8월까지 선정하고 스마트시티형 규제 샌드박스 도입도 추진한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