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사업자 유치 市와 협력”… 첫 긍정적 언급
인천시의 항공정비(MRO)단지 조성 사업에 청신호가 켜졌다.
국토교통부는 일자리 창출 차원에서 인천공항에 MRO 단지가 조성될 수 있도록 입주기업 세금 감면 등을 통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20일 밝혔다.
국토부가 인천공항 MRO 단지 조성 사업을 긍정적으로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같은 국토부의 입장은 인천공항 MRO 단지 조성에 의미가 크다는 분석이다.
국토부에 공항 정비산업부지 사용과 MRO 민간 기업 유치 허가권이 있기 때문이다. 국토부가 인천공항 MRO 단지 조성에 부정적이면 민간 MRO 기업이 인천공항을 사업 부지로 선택하기가 사실상 불가능 하다.
국토부가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경남 사천을 정부지원 항공 MRO 사업지로 선정한 2017년 12월 이후 인천공항에 대한 MRO 업계의 시선은 부정적이었다.
인천공항 MRO 조성에 대한 국토부의 부정적 시각이 있는 한 사업허가를 받기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토부의 이번 지원 입장 표명으로 인천공항에서도 MRO를 조성할 수 있다는 분위기가 조성돼 민간 MRO 기업 유치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시와 인천국제공항공사가 계획 중인 MRO 단지는 1번에 17개 항공기를 정비할 수 있는 규모다. 또 시는 MRO 단지 조성이 지역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인천산학융합원 내 교육훈련센터를 만들 계획이다.
시는 교육훈련센터에서 가장 기초적인 수준부터 미국 연방항공국(FAA)에서 항공정비 국제 인증을 취득할 수 있는 정비사 양성까지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할 방침이다.
인천산학융합원은 지난 1월 착공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앞으로 인천공항 MRO 사업자 유치를 위해서 세금 감면 등 유인책 제공 측면에서도 시와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시 관계자는 “국토부의 이번 입장 표명은 인천공항 MRO 단지 조성에 대단히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많은 민간 MRO 사업자가 인천공항을 사업 부지로 선택할 가능성이 커졌다. 시도 정비사 인재양성으로 인천공항 MRO 단지가 지역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인천공항 MRO 단지가 조성되면 직간접 고용 효과 1만9천600명, 생산유발 효과 5조4천억원 등의 경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