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구 칼럼] ‘하늘길 逆차별’-경기 新공항으로 끝내자

154만 강원 둘-2,570만 수도권 둘
인천·김포공항 포화 10년 앞으로
신공항 추진, 지금 시작해도 늦다

인구 154만명 강원에 공항이 2개다. 77만명당 1개다. 인구 332만명 전남ㆍ광주에는 4개다. 83만명당 1개다. 인구 795만명 경남ㆍ부산ㆍ울산에는 3개다. 265만명당 1개다. 인구 2천570만명 수도권에는 2개다. 1천285만명당 1개다. 하늘길이 어느 때보다 중한 시대다. 공항 접근성은 도시 평가의 핵심 요소다. 이렇듯 중요한 길을 원칙 없이 뒤섞어 놨다. 균형이라곤 없다. 우리가 안 보던 또 하나의 수도권 역차별, ‘하늘길 역차별’이다.

모두 정치가 만든 기형이다. 지방 공항은 권력의 선물이었다. 예천공항은 노태우 정부의 선물이었고, 양양공항은 김영삼 정부의 선물이었고, 울진공항은 김대중 정부의 선물이었다. 하나같이 선거 공약에서 출발했다. 예비 타당성 조사라는 것도 없던 시절이었다. 그냥 수천억원의 돈이 투입됐다. 제대로 운영될 리 없다. 예천 공항은 공군에 넘어갔고, 양양공항은 돈 먹는 하마가 됐고, 울진공항은 항공대 비행훈련센터로 전락했다.

지금도 권력의 ‘공항 선심’은 진행 중이다. 영남권에 김해신공항, 대구ㆍ경북에 대구통합공항, 전북에 새만금국제공항, 전남에 무안ㆍ광주 통합공항이 추진 중이다. 바로 옆에 적자 공항들이 있다. 김해신공항 옆에는 48억원 적자 낸 사천공항이 있다. 새만금국제공항 옆에는 27억원 적자 낸 군산공항이 있다. 통합한다는 무안공항은 139억원, 광주공항은 27억원 적자를 냈다. 2017년 한 해에만 집계된 적자다. 이런데도 또 짓는다.

그 사이 비상은 엉뚱한 지역에서 걸렸다. 인천ㆍ김포공항이 포화 상태다. 국토교통부가 예측을 내놨다. 인천국제공항의 한계 포화기준점은 연 1억명이다. 2030년이면 1억500만명에 달한다. 김포공항의 포화기준점은 3천500만명이다. 역시 2030년에 3천700만명에 이른다. 불과 10년 뒤 다가올 ‘하늘길 대란’이다. 대책도 마땅치 않다. 인천공항은 터미널과 활주로를 늘리려 한다. 그래 봐야 10년 더 쓴다. 김포공항은 이런 대책조차 없다.

지나간 역차별은 어쩔 수 없었다 치자. 미래를 위한 공항은 지방에도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부터는 아니다. 10년 뒤면 수도권 하늘길이 막힌다. 국내로 들어올 국부(國富)가 막힌다. 돈 싸들고 들어올 한류(韓流)가 막힌다. 반도체 팔러 나갈 산업(産業)이 막힌다. 대한민국의 혈(穴)이 막히는 것이다. 과한 침소봉대가 아니다. 국토교통부가 ‘제5차 공항개발중장기 종합계획’이라는 문서에서 수치로 증명해 놓은 실화(實話)다.

해답은 나와 있다. 공항 수용 능력을 늘리면 된다. 그런데 땅이 없다. 김포공항은 바늘 하나 꽂을 틈도 없다. 인천공항도 활주로 하나 늘리기도 벅차다. 결국, 신공항을 다른 곳에 지어야 한다. 그런데 이 사업이 하세월 걸리는 일이다. 계획 수립부터 완공까지 수십년은 기본이다. 정권이 배려한 무안공항도 20년 걸렸다. 수요가 넘치는 제주신공항은 30년째 추진 중이다. 딱 10년 주어진 수도권 ‘하늘길’ 시한이다. 지금도 늦은 것 아닌가 싶다.

서울은 국가의 수도(首都)다. 경기도는 국가의 웅도(雄道)다. 인천은 국가의 관문(關門)이다. 세계를 향한 대한민국의 상징이다. 이런 수도권에 공항이 달랑 2개였다. 그나마 10년 뒤면 용량이 넘친다. 수도ㆍ웅도ㆍ관문이라고 할 수 있나. 뉴욕(New York)을 미국의 상징이라 한다. 반경 80㎞에 7개 공항이 있다. 국내선ㆍ국제선ㆍLCC(Low Cost Carrier)ㆍ화물이 쌩쌩 오간다. 뻥 뚫린 뉴욕 하늘길과 꽉 막힐 경기도 하늘길의 차이다.

그동안, 지방 공항에서 지역 발전을 찾았다. 이제는, 경기도 신공항에서 국가 발전을 찾자.

主筆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