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20대 청년' 발언 논란 진화 나서

더불어민주당이 최근 설훈 최고위원(부천 원미을)과 홍익표 수석대변인 등 당내 인사들이 빚은 ‘20대 청년’ 발언 논란에 대해 사과했다.

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인천 부평을)는 2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20대 청년과 관련해 우리 당 의원들의 발언이 논란이 됐다. 원내대표로서 깊은 유감을 표시하고 머리 숙여 사죄한다”고 말했다.

그는 “20대 청년은 미래를 책임질 주역이며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가질 수 있어야 우리 사회도 미래가 있는데 지금의 20대는 구조화된 불평등, 미래 불확실성에 짓눌려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바늘구멍에 들어가는 것보다 어려운 대기업과 공공부문 취직, 부모 세대 성취에 따라 인생이 좌지우지되는 기회의 상실, 기득권의 세상에서 젊은이들이 절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20대의 절망감에 대해 기성세대이자 정치인인 한 사람으로서 미안하다”면서 “청춘이 절망이나 상실의 동의어가 돼서는 안 되고 꿈꿀 수 있는 특권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 당과 정부가 직면한 현실에 공감하고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반면 홍 수석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홍 원내대표의 사과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 홍 원내대표가 내 발언의 취지를 못 알아듣고 사과한 것”이라고 말했다.

홍 수석대변인은 “(내 발언의 취지는 냉전 이데올로기 교육 등을 강조했던 이명박·박근혜 정부) 당시 집권 여당과 일부 보수 언론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한 것”이라며 발언의 정당성을 거듭 주장했다. 그러면서 “(분위기와 교육의 영향을 받는) 그것은 꼭 20대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면서 “그 당시 (토론회의) 주제는 갑자기 유럽 사회에서 왜 젊은 세대, 일부로부터 신나치나 보수화된 경향이 나타나느냐 였다”고 항변했다.

한편 앞서 설 최고위원은 지난 21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20대 지지율 하락 이유로 “20대가 전 정부에서 제대로 교육받지 못한 탓이 있다”는 취지로 말해 논란을 빚었다. 홍 수석대변인의 경우, 지난 15일 국회에서 열린 ‘극우 정치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라는 주제의 토론회에서 ‘지난 정권에서 1960∼70년대 박정희 시대를 방불케 하는 반공 교육으로 아이들에게 적대감을 심어줬기 때문에 20대가 가장 보수적’이라는 요지로 발언한 바 있다.

정금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