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 도시 경쟁 중 부산 유력… 市 “확정 아니다”
인천시가 추진 중인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유치가 사실상 무산됐다.
25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인천과 부산을 비롯한 7개 도시가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유치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부산 개최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허종식 시 균형발전정무부시장은 “인천의 유치 노력에도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도시로 부산이 선정될 것이라는 분위기가 강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시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로 국제회의 특별시라는 도시 이미지를 만들고자 유치 경쟁에 나섰다.
특히 시는 2019년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한국 개최가 결정되기 전인 2018년 8월부터 외교부에 비공식 제안서를 전달하기도 했다.
시는 제주, 부산 등 경쟁도시와의 형평성을 강조했다. 제주는 2009년에 부산은 2014년에 이미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열어 이번 특별정상회의는 형평성 차원에서 인천을 개최도시로 선정해달라는 논리다.
이와 함께 시는 송도 컨벤시아 2단계 개관 등 국제회의를 개최할 충분한 인프라가 조성됐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 같은 분위기가 바뀐 것은 2019년 1월부터다. 여러 방법으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인천 유치를 노력했지만, 부산이 이미 대세로 굳어졌다는 분위기를 확인했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의 부대행사를 인천에서 진행할 가능성은 있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규모가 커 1개 도시에서 모든 행사를 추진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부대행사는 본 행사보다 인천을 홍보하는데 한계가 있어 당초 시가 목표한 국제회의 특별시 도시 브랜딩은 차질이 예상된다.
시 관계자는 “박남춘 인천시장이 다양한 방식으로 노력했지만 부산으로 결정된 분위기를 확인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장관급 회의 등 부대행사 정도는 인천에서 열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직 개최도시가 확정된 것은 아니다. 2월 중순께 특별정상회의 개최도시가 발표될 예정이었는데 늦어지고 있다”며 “막판에 분위기가 바뀔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한편,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도시로 부산이 유력한 것은 2020년 총선이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다. 현재 PK지역(부산, 경상도)을 중심으로 떨어지는 지지율을 만회하고자 정치적 셈법이 작용했다는 것이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