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점기 시련 함께한 ‘미선나무’ 재조명

100년 전 학계 소개…일본식 이름으로 불리고 학명도 뺏겨
3·1운동 100주년 맞아 오늘 ‘우리나라 특산식물’ 심포지엄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일제 강점기 시련을 함께한 특산식물 ‘미선나무’가 주목받고 있다.

26일 국립수목원에 따르면 한반도에서만 나는 식물인 ‘미선나무’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으로 분류, 멸종위기종으로 등록한 보호종이 다.

미선나무는 한국 식물학의 개척자인 정태현 박사가 1917년 충북 진천에서 처음 발견했으나 2년 뒤인 1919년 일본 식물학자인 나카이 다케노신(中井猛之進·Nakai Takenoshin) 박사에 의해 학계에 처음 보고되면서 한반도 대표 특산식물로 전 세계에 알려졌다.

식물의 학명 맨 끝에는 통상 발견자의 이름이 들어가는 점을 고려하면 이 같은 성과를 일제에 빼앗긴 셈이다.

더욱이 학계 보고될 당시 나카이 박사는 미선나무를 일본식 이름인 ‘부채나무’(Uchiwa-no-ki)로 소개했다. 물푸레나무과인 이 나무는 열매 모양이 부채를 닮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한국 식물학자들은 1937년 ‘조선식물향명집’을 만들면서 이 나무의 이름을 미선나무로 기록하려 노력했다. 하지만, 당시 일제는 “내선 일체로 일본과 조선이 한 나라인데 조선명을 새로 만들 필요가 있느냐”며 제재를 가했다. 이에 한국 식물학자들은 “농촌에는 일본어를 모르는 사람이 많아 이를 교육하기 위해 일본명을 번역하는 것”이라고 둘러대 현재와 같은 ‘미선’이라는 고운 이름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아픈 역사와 운명을 같이한 ‘미선나무’가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재조명된다.

국립수목원은 27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미선나무 100년을 통해 본 우리나라 특산식물’을 주제로 학술 심포지엄을 연다. 심포지엄에서는 장계선 국립수목원 연구사의 ‘미선나무의 학술적 가치와 특산식물 목록의 재개정’ 등 5편이 주제발표 된다.

포천=김두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