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진로·친구관계·이성교제·성역할 등 청소년 심리 다양한 측면서 과학적 분석
<현대 청소년심리 및 상담>(싸이앤북스 刊)은 청소년들이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과학적 지침서다. 오랜시간 청소년 심리에 대해 연구해 온 김청송 경기대학교 청소년학과 교수가 최근 펴냈다.
김 교수는 중앙대 대학원 심리학과를 졸업한 후 경희대 의과대학에서 신경정신과 수련과정을 이수하고 한국 건강심리전문가 취득, 청소년상담사 2급 이상심리 출제위원,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 객원교수, 한국건강심리학회장 등 활발한 활동을 해왔다.
앞서 논문 <청소년의 행복결정요인에 관한 연구>(2009년)와 저서 및 공저 <아동연구방법>(양서원 刊), <청소년심리학의 이론과 쟁점>(학지사 刊), <아동ㆍ청소년 발달문제론>(시그마프레스 刊) 등으로 청소년 심리에 대해 다각도로 분석했다면 이 책에서는 보다 입체적이고 과학적으로 청소년들의 심리를 다룬다.
김 교수는 “청소년은 본질적으로 발달적 존재이기 때문에 실수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이라면서 “많은 고민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들과, 그들을 가까이서 지켜봐야하는 부모 및 지도자를 위해 2년에 걸쳐 준비했다”고 책을 발간한 이유에 대해 말했다.
책은 크게 ‘청소년심리의 이해’ ‘청소년기의 심리적 발달’ ‘청소년기의 사회적 발달’ ‘청소년상담의 이해와 실제’ 등 총 4부로 구성돼 있다.
1부 청소년심리의 이해에서는 청소년의 개념과 정의, 발달특성 등 청소년심리학의 기초부터 다양한 이론적 관점에 대해 설명한다.
2부 청소년기의 심리적 발달에서는 청소년기의 생물학적 발달과 함께 정서, 인지, 도덕성, 자아정체감, 성격까지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신체와 정서적 변화를 자세하게 살펴본다.
3부 청소년기의 사회적 발달에서는 청소년기의 가정, 성과 성역할, 친구관계와 이성교제, 학업과 진로, 여가, 심리사회적 문제 등을 면밀히 들여다본다. 이중에서도 부모와의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과 부모의 이혼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세세하게 알려준다.
4부 청소년상담의 이해와 실제는 청소년상담을 공부하고 있거나 청소년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들이 한번쯤 읽어봐야 한다. 청소년상담의 개념과 목표, 기본원리, 이론, 상담 방법을 소개한다. 특히 상담 방법은 진로, 성, 학교폭력, 인터넷 중독 등 요즘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문제를 분야별로 나눠 보여준다.
김 교수는 “청소년들이 건강하게 자라기 위해서는 부모와 지도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이들의 마음과 행동을 바람직한 쪽으로 변화시키고,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길잡이 역할을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부모는 청소년들이 시행착오를 거듭하면서 스스로 눈뜰 수 있도? 한 발 뒤로 물러서서 지켜봐주고 교사는 청소년심리와 상담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습득한다면, 이들이 지혜로운 삶을 살아가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값 2만8천원
송시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