꽉 막혔던 ‘인천 버스준공영제’ 물꼬

시 교통국장이 수입금공동관리위원
조합측 수용… 부위원장은 업체대표

인천시와 버스운송사업조합이 핵심 쟁점에서 이견을 좁히면서 준공영제 합의가 가속할 전망이다.

조합은 현재 버스업체 대표가 맡은 수입금공동관리위원장(수공위원장)을 시 교통국장에게 넘기고, 부위원장을 업체 대표가 맡겠다는 의견을 27일 시에 전달했다.

시는 수공위원장을 시 교통국장이나 제3자인 민간인이 맡는 방안을 제시했다. 수공위원회는 버스 업체 수입금을 관리하고 적자가 나면 시의 지원을 받아 부족분을 보충하는 역할을 하는 만큼 교통국장이나 제3자가 수공위원장을 맡아야 준공영제 투명화가 가능하다는 게 시의 입장이었다.

조합은 수공위원장을 업계와 관계없는 제3자가 맡는 것은 어렵고, 교통국장이 위원장을 맡는 것은 받아들이겠다고 제시했다.

또 다른 쟁점이었던 고정비 반납 부분은 시가 일부 양보했다. 시는 고정비에서 업체 임원이 가져갈 수 있는 상한선을 설정하고 남는 부분은 회사 운영에 사용하는 것을 허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범조 시 버스운송사업조합 상무이사는 “수공위원장 부분은 시 교통국장이 맡는 방안을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에 평행선을 달렸던 핵심 쟁점에서 시와 조합이 일부 양보하면서 준공영제 합의가 가속할 전망이다.

하지만, 조합이 준공영제 관련 조례 제정과 용역에서 나오는 표준운송원가를 3년간 그대로 받아들이라는 안에 대해 일부 단서 조항을 단 것은 막판 변수로 남는다.

시 관계자는 “조합 측에서 제안한 내용을 받아들일지를 최종 조율하고 있다”며 “하지만, 업체에서 제시한 것이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는 내용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시가 업체의 제안을 받아들이면 버스 노선 개편과 감축 운행 등에도 탄력을 받을 수 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