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대호 의원 "도내 학교 물품 일본 전범기업 제품 비율 지나치게 높아"

경기도 내 학교들의 전범기업을 포함한 일본제품 구매가 지나치게 많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올해 3ㆍ1 운동 100주년을 맞은 가운데 역사 왜곡을 자행하는 일본 전범기업 제품 구매를 자제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경기도의회 제2교육위원회 소속 황대호 의원(더불어민주당ㆍ수원4)은 최근 경기도교육청을 통해 도내 각급 공립학교 3천200여 곳(유치원 1천170곳, 초등학교 1천289곳, 중학교 542곳, 고등학교 200곳, 특수학교 11곳)을 대상으로 공립학교 물품(빔프로젝터, 카메라, 캠코더, 인쇄기, 복사기) 보유현황 전수조사를 실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도내 각급 공립학교는 빔프로젝터를 3만 8천550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 중 1만 9천262대가 국산제품이고, 일본제품(전범기업 포함)은 1만 8천378대로 비율은 47%에 달했다.

카메라 보유현황에서도 도내 각급 공립학교는 1만 5천513대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국산제품은 6천502대(42%)에 그치고 일본제품(전범기업 포함)은 8천761대(56%)를 보유하고 있었다. 또 캠코더는 8천803대 중 국산제품은 2천481대로 28%에 머물렀고, 일본제품(전범기업 포함)은 6천191대로 70%에 달했다. 복사기 보유현황에서도 총 4천344대의 복사기 중 국산제품은 1천765대로 40%였던 반면, 일본제품(전범기업 포함)은 2천440대를 보유해 56%에 달했다.

이에 대해 황 의원은 “전수조사한 물품 구매 현황을 보면 학교에서 기능의 차이가 아닌 막연한 제품의 선호도를 기준으로 구입하는 성향이 강하다. 이것이 일본의 대표적 전범기업인 N 기업 및 P 기업 등의 제품 구매까지 이어지는 상황”이라며 “일본이 일제 침략기에 저지른 약탈과 탄압, 위안부 피해 문제 등에 대해 제대로 된 사과를 하지 않는 상황에서 학생과 교원 등 학교 현장에 전혀 교육적이지도 바람직하지도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학교라는 공간은 미래세대가 내일을 준비하는 도약의 공간”이라며 “학교가 물품을 선정할 때는 단순한 필요성을 넘어 시대정신과 교육적인 측면까지 고려해 신중히 물품을 구매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황 의원은 향후 각급 학교가 물품 수의계약 시에는 역사를 왜곡하는 일본 전범기업 제품에 인식표를 붙이고 구매 자제를 권고하는 내용의 조례안을 준비할 계획이다.

최현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