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합의 불발… 일각선 “서울 답방이 돌파구 마련 해법”
비핵화 원 포인트 남북 정상간 만남 추진 가능성도 제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4박5일간의 일정을 마치고 2일 ‘빈 손’ 귀국길에 오른 가운데 하노이 합의 결렬의 여파는 남북관계에도 영향을 미치며 차질이 불가피해 보인다.
당장 한반도 정세는 시계제로에 빠졌다. 청와대에선 북미 정상의 두번째 만남 자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남북경제협력의 물꼬를 틔워 줄 대북제재 완화가 이루어질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해왔다. 하지만 합의가 불발되며 남북 경협 문제도 당분간 발이 묶이게 됐다.
남북은 최근까지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철도·도로 협력 관련자료를 주고 받으며 사업 준비를 해 나갔다.
하지만 북미 2차협상은 결국 결렬됐고, 이같은 이유들로 인해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답방’ 역시 기약없는 상태로 접어들었다.
북미회담에서 의미있는 성과가 도출될 경우 이를 계기로 남북 정상이 다시 만나 경제협력 문제를 논의할 계획이었으나 예상치 못한 결과가 도출되면서 표류하게 된 것이다.
일각에선 문재인 대통령의 중재 역할이 중요해 진 만큼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돌파구 마련의 해법으로 작용될 수 있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온다.
다만 김 위원장의 답방 자체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 우리가 중재를 통해 북미관계가 다시 접점을 찾을 수 있도록 분위기 형성에 주력해야 한다는 견해도 나온다.
이로 인해 서울 답방 보다는 지난해 5월26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예고 없이 개최된 실무성격의 남북정상회담처럼, 비핵화를 원 포인트로 한 남북 정상간의 만남 추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처럼 합의 없이 끝난 2차 북미정상회담의 후속대책 논의를 위해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이르면 5일 미국 워싱턴을 방문,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를 만날 예정이다.
이 본부장은 이번 면담을 통해 남북경협을 통해 북미대화의 활로를 뚫겠다는 입장을 표시하면서 비건 대표와 한미 워킹그룹 회의 일정도 조율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딜 하노이’로 인해 차질이 생기긴 했지만 이 본부장은 정부가 그동안 추진해 온 남북 철도·도로 현대화 공사를 비롯해 금강산관광·개성공단 재개를 위한 제재 면제나 예외 적용 방안을 미측과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한미 외교장관회담도 추진된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지난 1일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의 전화통화에서 조속한 시일 내 한미 외교장관이 직접 만나기로 의견을 모았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