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제조업 경기 전망 하락세…‘내수 부진’ 탓

인력난과 내수 부진 영향으로 인천지역 제조업 경기 전망에 먹구름이 낀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한국은행 인천본부는 인천지역 내 418개 업체를 대상으로 진행한 ‘올해 3월 인천지역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2일부터 19일까지 7일간 진행됐다.

BSI는 기업가의 현재 기업경영상황에 대한 판단을 조사해 경기 동향을 파악하고 전망하고자 작성되고 있다.

BSI가 기준치 100인 경우 긍정적인 응답을 한 업체 수와 부정적인 응답을 한 업체 수가 같음을 의미한다. 기준치보다 큰(작은) 경우는 긍정 응답업체 수가 부정 응답업체 수보다 많음(적음)을 의미한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인천지역 제조업의 업황BSI는 59로 전월대비 2포인트(p) 올랐으나 전망BSI는 61을 기록해 1p 떨어졌다.

기업유형별로 보면 대기업의 업황BSI는 16p, 전망BSI는 12p 올랐다. 수출기업의 업황BSI는 8p, 전망BSI는 6p 상승했다.

다만 중소기업과 내수기업의 업황BSI는 모두 보합이었으나 전망BSI는 각각 4p, 3p 하락했다.

인천지역 비제조업의 3월 업황BSI는 44로 전월대비 3p 올랐으며 전망BSI도 46으로 1p 상승했다.

경영애로사항으로는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내수 부진’과 ‘인력난과 인건비 상승’의 응답 비중이 높았다.

제조업은 ‘내수 부진’이 전체 응답의 35.0%, ‘인력난과 인건비 상승’이 16.3%의 비중을 차지했다.

비제조업은 ‘인력난과 인건비 상승’이 전체 응답의 22.7%였으며 ‘내수 부진’은 13.2%를 기록했다.

장성윤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