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항공우주 강소연구개발특구 긍정적”… 인천硏 “인하대, 연구개발 인력 등 5개 평가 충족”

인천시가 추진하는 항공분야 강소연구개발특구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4일 인천연구원의 ‘인천 항공우주 연구개발특구 기초 연구’에 따르면 시의 항공분야 강소특구는 기술핵심기관인 인하대가 평가 기준을 충족해 강소특구의 1차 지정 요건을 충족한다.

항공우주분야 강소특구 기술핵심기관으로 유력한 인하대학교는 정량 조건 5개 평가 항목 기준을 모두 충족한다.

평가 항목 기준은 R&D 인력 450명, R&D 투자비 260억원, 특허출원수 145건, 기술이전수 30건, 기술이전액 3억3천만원이다.

인하대의 연구개발(R&D) 인력은 836명, R&D 투자비는 788억8천2백만원, 특허출원수는 365건, 기술이전수는 68건, 기술이전액은 8억6천600만원으로 나타났다.

또 송도지역을 중심으로 인천산업융합원 설립, 미항공우주국(NASA) 공동연구 지원사업, 네덜란드 항공우주연구소 공동연구 등 국내외 항공우주 분야 연구기관 간의 교류협력이 활성화하고 있음도 항공우주 분야 강소특구 지정에 긍정적이다.

강소특구 정성조건 측면에서도 인천은 연구개발 수행 조직이 2천287개로 전국에서 3번째이며, 국내 특허등록 기관 781개(전국 3위), 국내 랭킹 30위 이내 대학 1개(전국 4위), 연구개발투자 상위 1000대 기업 67개(전국 4위) 보유 등 전반적인 환경은 양호하다.

다만 인천 내 지역 총생산(GRDP) 대비 정부연구개발사업비 비중이 0.55%고, 인천의 산·학·연 협력 과학기술논문 수가 0.035편으로 전국 최하위 수준인 점에 대한 정책적 수단이 필요하다.

또 연구원은 일반연구개발특구 지정과 관련해서는 장기적 관점에서 지정·육성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천은 법률상의 지정요건을 충족하고 있지만 수도권 배제 방침으로 단기간에 연구개발특구에 지정될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윤석진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인천지역 특화산업과 연계된 국립연구기관 및 정부출연 연구기관 지역분원을 인천에 유치하거나 수도권 내 거점 산업에 대한 연구개발 특구 지정 가능하도록 법을 개정하는 방식 등이 가능하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