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김포공항 국제선 증편 용역 반대”

인천·서울·경기 광역의원 공동성명
심야운항에 소음피해 가중 우려
국제선 인천공항으로 이전 촉구

인천시·서울시·경기도의회 의원들이 ‘김포공항 국제선 증편’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5일 발표한 공동 성명을 통해 “서울시의 국제선 증편을 통한 ‘김포공항 르네상스’ 용역에 명백히 반대한다”며 “소음피해, 고도제한,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이번 공동성명에는 인천 계양구 지역 시의원을 비롯해 서울 강서·양천·구로·금천구, 경기도 부천·김포시 지역 광역의원 19명이 참여했다.

김포공항 소음 피해지역인 인천 계양지역 이용범(민·계양3), 손민호(민·계양1), 김종득(민·계양2), 박성민의원(민·계양4) 등은 “국제선 증편은 심야 운항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민의 건강권을 심각하게 침해할 수 있다”며 “국가경쟁력을 위해서라도 김포공항 국제선은 인천공항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시는 지난해 4월부터 2억6천만원을 투입해 ‘김포공항 육성·관리방안’을 위한 용역을 진행 중이다.

일각에서는 서울시가 용역을 통해 국제선 증편을 추진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인천공항이 2001년 개장하면서 김포공항의 국제선은 인천공항으로 이전했다.

하지만, 2003년 국제선 일부가 다시 취항하면서 소음이 심해졌다.

지난 2017년 기준 14만5천여편이 김포공항을 이용하고 있는데 하루 약 400편, 약 2.4분당 1대꼴로 항공기가 이착륙하고 있다.

19명 광역의원들은 국제선을 증편하면 심야 운항이 늘면서, 인천·서울·경기도 인근 주민의 소음 피해가 가중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때문에 인천 등 3개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의하에 ‘김포공항 육성·관리방안’ 용역을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 이들의 입장이다.

인천시의회 이용범의원은 “소음 등으로 김포공항 주변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이 갈수록 나빠지면 지역 사회 침체도 가속화될 것”이라며 “서울시가 과연 용역에 어느 정도의 충실한 내용과 대책을 담고 있는지 검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용역을 통해 김포공항 및 주변 지역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국제선 부활 등은 확정되지 않은 사항”이라고 해명했다.

주재홍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