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김정은 시정연설 놓고 엇갈린 평가

김정은 시정연설 “南, 오지랖 넓은 촉진자 아닌 당사자 돼야”
민주 “북미대화 의지” vs 한국 “북한, 편들라 통첩”

여야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시정연설을 놓고 극명한 시각차를 드러냈다.

이는 김 위원장이 12일 실시한 최고인민회의에서 시정연설 도중 남측 정부를 향해 “오지랖 넓은 ‘중재자’, ‘촉진자’ 행세를 할 게 아니라 민족의 일원으로서 민족의 이익을 옹호하는 당사자가 돼야 한다”며 “외세의존 정책에 종지부를 찍고 모든 것을 북남관계 개선에 복종시켜야 한다”고 주장한 데 따른 평가가 엇갈린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수석대변인은 14일 본보와의 통화에서 “북미 간의 대화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중재자·촉진자 역할을 하는 동시에 당사자 역할을 하라는 것”이라며 “이는 그동안 북한이 우리에게 얘기해온 기조와 다른 게 없다고 보인다”고 말했다.

민주당 조승현 부대변인도 “미국을 잘 설득해달라는 북한의 입장인 것 같다. 북미가 불만과 감사함이 혼재할 수 있는데 현재 우리 정부는 (북미 협상을 중재할 당사자로서의) 역할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반면 자유한국당 전희경 대변인은 13일 논평을 내고 “김 위원장은 대북제재 완화가 성과를 이루지 못하자 급기야 공개석상에서 대한민국 대통령을 지목하며 북한 편에 서라고 통첩한 것이나 다름없다”며 “한마디로 북한과 한편이 되라는 협박이며 혈맹으로 맺어진 견고한 한미동맹은 걷어차고 ‘우리민족끼리’라는 허상 하에 한반도를 북한에 갖다 바치라는 것”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바른미래당 이종철 대변인도 “김 위원장이 3차 북미회담 용의를 밝히면서 올 연말로 ‘대화 시한’을 못 박았다. 대화 용의는 다행으로 생각하며 환영한다”면서도 “그러나 자신은 물러설 의사가 없이 용단을 촉구하는 북한의 태도는 유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핵무기 포기를 실행에 옮기는 것이 곧 시한”이라며 “한국에 대해 중재자·촉진자 행세를 말라고 했는데, ‘북핵 현실’을 냉정하게 인식하고 대한민국의 안보 해법을 찾아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정금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