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변동형 금리 4.9% 아래…주요은행 전달과 동일 책정

은행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가 잔액 기준 연 4.9%를 넘지 않았다. 16일 은행권에 따르면 신한·KB국민·우리·NH농협은행 등 주요 시중 은행은 이날부터 적용되는 잔액 기준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연동 주담대 금리를 전달과 동일한 수준으로 정했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주요 수신상품의 가중평균금리다.

신한은행은 잔액 기준 코픽스 연동 주담대 금리는 연 3.32∼4.67%다. 국민은행은 연 3.39∼4.89%, 우리은행은 3.42∼4.42%, 농협은행은 2.72∼4.34%로 모두 전달과 동일하다.

은행연합회가 3월 잔액 기준 코픽스를 전달과 같은 2.02%로 공시하자 은행들은 이에 연동한 주담대 금리 역시 전월과 같게 정했다. 잔액 기준 코픽스는 지난달 공시된 2월 수치가 2.02%로 2015년 8월 2.03% 이후 42개월 만의 최고치였다. 2017년 8월 1.59%까지 하락한 이후 18개월 연속 상승한 수준이다.

지난해 상반기부터 시장금리가 차츰 상승세를 나타내고, 11월 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시중은행이 다시 수신상품 금리를 상승한 것이 코픽스에 영향을 줬다. 코픽스는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 금리가 인상·인하되면 이를 반영한다. 주담대 금리도 점차 상승해 최고 4.89%까지 올랐다. 이달 공시된 3월 기준 코픽스의 상승세가 주춤하면서 이와 연동한 주담대 금리도 덩달아 멈췄다.

3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전달보다 0.02%P 상승한 1.94%로 3개월 만에 반등했다. 은행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 연동 주담대 금리도 0.02%P씩 상승했다. 15일 신한은행은 3.27∼4.62%였던 신규취급액 기준 주담대 금리를 이날 3.29∼4.64%로 상향조정했다. 국민은행은 3.14∼4.64%였던 금리를 3.16∼4.66%로 인상했다. 우리은행은 3.32∼4.32%에서 3.34∼4.34%로, 농협은행은 2.62∼4.24%에서 2.64∼4.26%로 각각 올렸다. 금융채 6개월물을 기준으로 삼는 하나은행의 경우,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3.07∼4.171%에서 3.072∼4.172%로 조정됐다.

민현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