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소규모 사업장을 대상으로 추진한 정책이 소기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지난해 실적을 바탕으로 올해 관련 정책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18일 도에 따르면 도가 지난해 도내 79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소규모 사업장 방지시설 설치 지원사업’을 추진한 결과, 47.1%에 달하는 미세먼지 저감효과를 본 것으로 확인됐다. 소규모 사업장 방지시설 설치 지원사업은 45억 원의 예산을 투입, 투자 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에 보조금을 지원해 노후 환경오염 방지시설을 교체ㆍ개선하는 내용이다.
도는 사업 효과 측정을 위해 지난달 79개 사업장으로부터 ‘오염도성적서’를 제출받아 방지시설 개선 전과 후의 미세먼지 배출 측정량을 살펴봤다. 그 결과, 방지시설 개선 전 48.6t(연간)에 달했던 79개 사업장의 미세먼지 배출량은 개선 이후 25.7t(연간)으로 감소하며 47.1%의 저감효과를 보였다.
주요 사례를 보면 포천에 있는 A 합판업체는 1t(연간)에 달했던 미세먼지 배출량이 노후 여과집진시설 교체 이후 0.3t(연간)으로 감소했다. 70%의 미세먼지 배출량을 줄인 것이다.
이에 도는 올해 지난해보다 15억 원 늘어난 60억 원의 예산을 투입, 도내 사업장 120개소를 대상으로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경제적 부담 때문에 노후 시설을 개선하고 싶어도 하지 못하는 영세사업장들이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난해 50% 수준이었던 보조금 지원비율을 올해부터 최대 80% 수준까지 높였다.
도 관계자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소규모 사업장이 자발적으로 환경개선 노력을 기울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사업을 확대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