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에 수소연료전지발전소 건립
안전우려 주민반대에 추진 불투명
市 “6자 민관협의체 구성 등 노력”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의 목표 상향 방침을 밝혔지만, 인천시의 신재생 에너지 사업이 주민 반발 등으로 난항을 겪고 있어 비상이다.
21일 정부에 따르면 제3차 에너지 기본계획안을 통해 2040년까지 태양광·풍력·수소 등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최대 35%로 확대하고, 석탄 발전 비중은 과감히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2030년까지 20%를 달성하겠다는 종전 목표보다 높아졌다.
인천시는 정부의 2030년 신재생에너지발전 비율 20%에 맞춰, 2030년 2천281㎽(22%), 2035년 2천802㎽(25%)를 목표로 신재생 에너지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현재 2035년 2천802㎽ 용량을 기준으로 태양광 1천45㎽(37.2%), 풍력 655㎽(23.3%), (수소)연료전지 597㎽(21.3%) 등의 신재생 에너지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수소)연료전지 건립사업은 안전 등에 대한 주민의 반대로 난항을 겪고 있다.
인천 동구 송림동 8-849 부지에 들어설 예정인 (수소)연료전지발전소(40㎽) 건립 사업은 오는 27~28일 2일간 주민 찬반투표를 앞두고 있다.
현재로서는 반대하는 분위기가 압도적으로 높아, 사업 추진이 불투명하다.
또 시가 지난 2017년 송도국제도시에 송도하수처리장 일부를 활용해, 건립하려던 (수소)연료전지 시설 사업도 소음 발생 등을 우려한 주민 반대로 무산됐다.
이와 함께 태양광 보급 사업도 시 신재생에너지발전 계획에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제대로 추진될지는 미지수다.
현재 태양광은 수도권매립지와 각 국가산단, 가정, 학교 지붕 등에 설치되고 있지만 앞으로 부지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시의 신재생에너지 사업 차질 등으로 2035년 목표인 신재생발전비율 25%도 맞추기 어려운 상황이다.
설상가상으로 정부가 추가로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높이기로 하면서, 인천의 목표 상향에 대한 압박은 심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신재생에너지 업계 관계자는 “태양열 등은 효율성 문제 때문에 현 계획보다 확대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연료전지 시설을 동구뿐 아니라 다른 곳까지 늘려야 하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신재생에너지 1일 평균 발전가능 시간은 태양광은 3.5시간, 해상풍력은 6시간에 불과하지만, (수소)연료전지는 20시간 이상 가능하다.
시는 (수소)연료전지 시설 건립을 위해 주민들과 협의하고, 새로운 용역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확대 방안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주민 등이 참여하는 6자 민관협의체 구성을 통해 (수소)연료전지 시설 건립 문제를 해결해 나가겠다”라며 “이와 함께 ‘지역에너지계획’ 용역에 지역 내 신재생에너지 확대 방안 내용을 담기로 했다”고 말했다.
주재홍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