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억 달러 수주 지원… 韓기업 진출 기반 확대
신북방정책 확고한 지지 확보
독립유공자들 유해 봉환 성과
문재인 대통령이 7박 8일 간의 중앙아시아 국빈 방문 일정을 모두 마무리하고 23일 저녁 귀국했다.
이번 순방기간 동안 문재인 대통령은 3국 정상들과의 만남을 통해 우리의 신북방정책에 대한 확고한 지지를 확보하고 130억달러 규모 24개 프로젝트의 수주 지원을 약속받았다. 또 최초로 대통령의 주관하에 독립유공자들의 유해를 봉환하고, 30만 고려인 동포들을 만나 격려했다.
3국 정상들과는 정상회담과 문화 일정, 비즈니스 포럼 등 여러 일정에 동행하며 인간적인 신뢰를 쌓고 서로 함께 발전할 수 있는 협력모델을 구체적으로 진행하기로 다짐했다.
경제적 성과도 상당했다. 이번 국빈 방문을 계기로 총 24개 프로젝트(투르크메니스탄 5개, 우즈베키스탄 15개, 카자흐스탄 4개), 130억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 수주 지원 활동을 전개했고, 이와는 별도로 우즈베키스탄에서는 120억 달러, 카자하스탄에서는 32억 달러 수준에 상당하는 협력 사업의 제안도 있었다.
이번에 순방한 3개국 모두와 정부 차원의 협의 채널을 대폭 강화하기로 한 점도 특이점이다. 중앙아시아 3개국 모두 정부가 민간을 뛰어넘는 영향력을 갖고 있어 이같은 정부 차원의 협의 채널 강화가 우리 기업의 진출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역만리에서 눈을 감은 우리 독립운동가들의 유해를 늦게나마 봉환하게 된 점도 성과다. 문 대통령은 카자흐스탄 국빈방문을 계기로 계봉우·황운정 지사 유해 봉환식을 직접 참여했다. 청산리 대첩와 봉오동 전투의 영웅인 홍범도 장군의 유해를 봉환하는 계기를 만든 것도 큰 성과다.
귀국한 문 대통령은 4차 남북정상회담과 야당과의 협치 등 산적한 현안을 어떻게 풀어갈지 관심이 모인다. 이미선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 강행으로 갈등이 격화된 정치권 상황과 한미 정상회담 이후 북미 비핵화 협상을 적극 중재해야 한다. 또 26일째 공석인 후임 청와대 대변인 인선을 발표할지도 관심이다.
이에 따라 문 대통령이 복잡한 국내 과제들에 어떤 묘책을 찾아낼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