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원도심이 살아난다… 새로운 복고바람 ‘뉴트로’ 부활

중구 개항장 거리
중구 개항장 거리

“인천 원도심이 새로움(New)과 복고(Retro)가 융합한 뉴트로(Newtro) 스타일의 관광지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인천 개항의 역사 흔적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중구 개항장 거리와, 문닫은 공장을 그대로 살린 원도심 카페 공간이 관광객을 불러 모으고 있다.

뉴트로는 ‘새로운 복고’라는 의미의 신조어로, 과거 그대로의 모습에 현대적 감성과 트렌드(trend) 를 입히는 것을 뜻한다.

중구 개항장 거리는 지난 1883년 개항 이후 서양 문물을 처음으로 받아들인 곳이다.

도심 곳곳에는 100년 전 지어진 항만과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건축물, 외국인 클럽 등 조계지 문화가 고스란히 남아있다.

과거 인천항의 근대역사가 잠들어 있어, 거리 전체가 문화·역사 자원이다.

관광객들은 다양한 문화재를 보며, 카페에서 휴식을 즐긴다.

이 곳은 한국 최초 근대식 호텔인 ‘대불호텔’, 인천 최초의 백화점 ‘항도백화점’, 최초의 스팀동력 정미소인 ‘담손이 방앗간’, 국내 최초의 ‘성냥공장’ 등의 근대건출물이 관광객을 맞이한다.

또 현대식 즐길거리와 문화가 가득한 인천개항장 근대건축전시관, 인천아트플랫폼, 인천개항박물관, 짜장면 박물관 등이 국내외 관광객들의 발길을 이끈다.

이와 함께 김구 선생이 갇혔던 인천 감리서터와 자유공원 등 한국 독립의 역사적 자원은 문화예술 플랫폼으로 변신중인 내항 1·8부두를 끼고 있다.

인천 역사·문화 자원을 활용한 ‘뉴트로’ 도시재생 사업의 중심지로 새로운 모습이 더욱 기대되는 곳이다.

인천 부평 등 원도심의 낡고 오래된 건물을 카페, 갤러리 등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하는 시도도 성공적이다.

옛것에 대한 그리움과 함께 새로움을 만끽할 수 있어, 부모 세대와 젊은 세대 모두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부평구 십정동 공장단지에 위치한 카페 발로(Cafe Valor)는 인천에서는 처음으로 폐공장을 개조해 만든 카페로, 종전에는 철강공장이었다.

최근 영화, 뮤직비디오 촬영지로 인기를 끌고 있어, 1호점은 한 달 중 반이 촬영 대관에 쓰일 정도로 인기가 높다.

서구 가좌동 한 공업단지에는 낡은 공장 구조물의 외형을 그대로 보존해, 신관을 증축한 문화공간이 들어섰다.

회색빛의 옛공장 건물에서 음악과 예술을 즐기는 특별한 공간을 제공한다.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 불리는 강화도는 마니산과 고인돌부터 1960~70년대 전성기를 누린 강화의 직물산업 흔적 등이 남아있다.

특히 우리나라 최초의 방직회사였던 ‘조양방직’을 그대로 살려 만든 카페는 하루에 3천~5천명이 찾는 명소가 됐다.

오래된 창고의 벽은 그대로 보존된 채, 대형 영사기로 벽에 흑백영화가 상영되는 등 자체가 미술품이라 평가받고 있다.

조양방직은 일제강점기인 1933년에 설립된 우리나라 최초이자 최대의 방직회사로, 국내 섬유산업을 주도했지만 1958년 폐업했다.

박남춘 시장은 “중구 개항장 일대의 수많은 건축물을 복원하고 활용하는 뉴트로 트렌드를 통해 이곳을 인천의 보물 창고로 만들 것”이라며 “또 원도심 뉴트로 카페는 도시재생사업의 사례로 벤치마킹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재홍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