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민의 정신건강에 빨간불이 켜졌지만, 관련 인프라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등에 따르면 2018년 인천지역 정신건강 관련 지표(우울감 경험률·우울증상 유병률·하루평균 수면시간·수면의 질 저하율·50세 이상 인지장애 경험률)는 모두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우선 인천지역 수면 질 저하율은 48%로 광역 지방자치단체에서 가장 높았다. 이는 인천시민 2명 중 1명이 한밤중 새벽에 잠에서 깨거나 취침 후 30분 이내에 잠들지 못하는 등 수면에 어려움을 겪은 것을 뜻한다.
인천지역 우울증상 유병률은 4.8%로 광역 지자체에서 가장 높았고 우울감 경험률도 8.1%로 2번째로 높았다.
50세 이상 인지장애 경험률은 26.5%로 광역 지자체 중 4번째로 높고 하루평균 수면시간은 서울, 대전과 함께 6.6시간으로 가장 적었다.
하지만, 인천의 정신건강 관련 인프라는 여전히 부족하다.
최근 국립정신건강센터가 발표한 제4차 정신건강현황조사에 따르면 시민 1인당 책정된 정신보건예산은 2천327원으로 전체 광역지자체 중 가장 적었다.
또 인천 내 정신건강증진센터는 87개로 조사됐다. 이는 전국에 있는 정신건강증진센터의 4.4%에 불과하고 수도권은 물론 비슷한 인구를 가진 부산, 대구보다 적다.
특히 국·공립 정신병원은 한 곳도 없어 취약 계층의 정신건강 인프라는 더욱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공립 정신병원이 모두 없는 지자체는 인천을 포함해 울산, 세종, 충북, 경북, 제주 등 6곳뿐이다.
인천의 정신재활시설과 정신건강센터는 11개와 103개로 7개 특·광역시 중 하위권(6위·5위)이었다.
이 밖에 정신요양시설이 있는 군·구는 2개(서구·강화군)에 불과하다.
김성준 의원(민·미추홀 1)은 “인천의 정신건강 인프라는 굉장히 열악하다. 이렇게 인프라가 부족한 상황에서는 앞으로 예정된 커뮤니티케어 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될 수 없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시가 자체적으로 조사한 것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답변할 수 있는 것이 없지만 다양한 사업 등을 통해 인천 내 정신건강을 책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