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전관리실 소속 김상구 주무관이 현수교나 사장교 케이블의 화재시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화재방지법을 국내 최초로 개발해 특허를 받았다.
1일 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3월 1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교량 케이블의 화재를 방지하는 수관 장치 및 화재방지 방법’에 대한 특허등록을 완료했다.
김 주무관이 고안한 이 화재 방지 방법은 교량을 지탱하는 케이블을 물이 들어 있는 수관으로 감싸주는 것이다. 이 방법은 케이블과 수관의 발화점이 다르다는 점을 이용했다. 수관은 생활 속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수도용 파이프다. 케이블에 열이 가해지면 발화점이 낮은 수관이 먼저 불에 타고, 수관의 물이 밖으로 나와 화재를 진압한다.
이 화재방지법의 개발은 지난 2015년 12월 발생한 서해대교 화재로 인해서다. 당시 서해대교 화재진압이 어려웠던 이유는 불이 난 케이블 주탑 높이가 180m인데다 강풍이 심해 고가사다리차와 소방헬기 이용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당시 소방관 5명이 100m가 넘는 서해대교 주탑에 올라 불이 난 케이블에 물을 흘려보내는 방식으로 화재진압에 성공, 모두 1계급 특진했다.
김 주무관은 “화재 조사를 위해 현장에 출동했는데 케이블에 불이 났을 경우의 대비책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다”며 “케이블에 수관을 설치하면 언제든지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겠다 싶어 방법을 연구했다”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