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자유구역 내 지식기반서비스용지 개발 지연이 송도국제도시 전체 바이오클러스터 조성 계획 차질로 이어질 우려를 낳고 있다.
더욱이 인천경제청은 땅값도 내지 못하는 국립인천대학교에 부지를 제공해 계획 차질을 자초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1일 인천경제청에 따르면 송도국제도시 송도동 13-27 일원(지식기반서비스용지) 2만2천여㎡(약 6천800평)를 지난해 12월 셀트리온과 인천대에 50%인 1만1천㎡씩 나누어 매각했다.
인천경제청은 당초 이 용지에 바이오클러스터에 적합한 국내외 기업, 공공기관, 학교법인 등을 유치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인천대가 해당 용지에 바이오 의약품 특성화 연구소와 혁신인력개발센터를 짓고 해외 전문 인력 초빙, 학위과정 신설 등을 추진해 바이오 분야 인재를 본격적으로 양성하겠다며 부지 제공을 요청했다.
또 셀트리온도 경기도 화성과 충청북도 오송 등지에 흩어져 있는 회사의 바이오 연구기관을 송도에 집적화해 국내 최대 규모의 바이오연구센터를 짓겠다며 용지 불하를 제안하는 등 용지 매입 경쟁이 시작됐다.
급기야 인천경제청은 중재에 나서 산학협력을 조건으로 셀트리온과 인천대에 용지를 나누어 넘기기로 하고 산업시설 용지의 목적에 맞게 사업을 추진하지 않을 경우 토지를 회수하겠다는 조건을 달았다.
하지만, 이같은 계획은 토지가 반토막나면서 셀트리온은 용지 부족으로 당초 계획 수정이 불가피하고 인천대는 땅값조차 지불치 못해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용지 개발이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특히 토지대금을 이미 납부한 셀트리온과는 달리 계약금도 지불하지 않고 ‘인천시 지불’ 약속만 믿고 수의계약에다 수개월째 약속을 미루고 있는 인천대에 대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 인천경제청에 대한 특혜시비 제기되고 있다.
인천대 측은 “인천시가 오는 5월 중으로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해 계약금을 포함한 78억원 가량의 토지매입 대금을 전액 납부할 것이라고 확답했다”며 “토지대금 납부가 끝나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바이오클러스터에 걸맞게 한국과 세계 바이오산업을 잇는 중심축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서윤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